[ Classic Review ]
베토벤 - 바이올린 소나타 '봄' (Beethoven, Violin Sonata No.5 in F Major Op.24 'Spring')
베토벤이 남긴 바이올린 작품들 가운데 총 10곡에 달하는 바이올린 소나타는 그가 바이올린이라는 악기를 독창적인 다루고 있는 점을 잘 보여준다. 10개의 작품들은 베토벤 음악 양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하나의 거대한 스펙트럼이라 할 만하며 각각의 작품을 따로 떼어서 보면 그 하나하나가 지닌 견고하고 독창적인 구조에 감탄하게 된다. 그러나 각 소나타들이 강한 개성과 독특한 색채를 지니고 있기에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관통하는 일관된 흐름을 느끼기는 어렵다.
총 10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그 탄생의 배경
뛰어난 독창성을 보여주는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의 탄생 배경은 의외다. 베토벤은 단지 많은 수입을 가져다 준다는 이유로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기 시작했으니 말이다. 당시 각 가정에서 음악을 즐기는 문화가 보편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는 인기있는 장르였다. 1801년 6월, 베토벤은 본에 있는 그의 친구 프란츠 베글러에게 보낸 편지에서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는 일이 그에게 얼마나 많은 수입을 보장해주는지를 이렇게 쓰고 있다. “내 작품은 수입이 아주 좋아. 아무래도 내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주문을 받아도 될 것 같아.”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경제적 이유로 탄생하게 되었지만, 순수한 창조적 충동에 의해 작곡되었든 경제적 이유에 의해 작곡되었든 예술적 영감으로 가득한 작품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베토벤으로 하여금 이렇게 훌륭한 바이올린 소나타들을 작곡하도록 만들었던 당시의 상황이 오늘날 바이올린 연주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무척 고마운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당시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에 대한 평가는 그리 좋지 않았다. 대개는 베토벤이 바이올린에 대해 잘 모르고 곡을 쓴 게 아니냐는 식의 평이 많았다. 1799년 당시 가장 권위있는 음악 전문지인 ‘일반음악신보’(Allgemeine musicalische Zeitung)에서는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12]의 세 곡에 대해 혹평하며 베토벤을 “괴상한 전조를 해대며 우리에게 어떠한 재미도 느끼게 해주지 않는 고집쟁이”라고 몰아붙이는가 하면, “그는 심지어 정상적인 화성을 싫어하는 듯하다.”고 썼다.
그리고 “만일 베토벤이 자기 자신을 부정하고 자연의 길을 따라 모든 재능과 에너지를 쏟는다면, 그는 분명히 이 악기에 있어 뛰어난 대가임을 입증하는 좋은 음악을 우리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조언 아닌 조언까지 덧붙이고 있다. 베토벤은 이런 평가에 대해 무척 상심했지만 결코 붓을 놓지 않았고, 뒤로 갈수록 독창적인 바이올린 음악 어법을 개발해냈다. 결국 베토벤을 혹평했던 비평가들도 [바이올린 소나타 4번]과 [5번]에 대해서는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달콤하고 유려한 도입부와 신선한 활력이 넘치는 곡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전 10곡을 시기별로 분류해 본다면 모차르트의 영향이 짙게 나타난 초기의 소나타(1, 2, 3번)와 베토벤의 개성이 나타나기 시작한 두 개의 대조적인 소나타(4, 5번 ‘봄’), 멜로디와 반주 구조를 탈피한 새로운 길을 모색한 세 곡의 소나타(6, 7, 8번), 그리고 후기의 걸작 소나타 두 곡(9번 ‘크로이처’, 10번)으로 나누어볼 수 있겠다. 그 중에서도 당대의 비평가들의 아낌없는 찬사를 받았던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제 5번] ‘봄’은 신선한 활력으로 넘치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그 매력으로 인해 오늘날 바이올린 소나타 가운데 가장 인기가 많은 곡이 되었다.
‘봄’이라는 별명은 베토벤 자신이 붙인 것은 아니지만 곡의 신선하고 선율적인 느낌에 매우 잘 어울린다. 별명의 기원은 1악장의 도입 주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멜로디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클레멘티의 작품에서 베낀 것이라는 혐의를 받기도 했을 정도로 베토벤의 선율답지 않게 달콤하고 유려하다. 그러나 주제가 발전되는 방식은 다분히 베토벤적이다.
베토벤은 도입 악장인 알레그로 악장에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그의 작품 중에서는 드물게, 바이올린이 먼저 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이것은 아마도 이 아름다운 제 1주제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전략인 듯하다. 유려하고 아름다운 2악장에서는 1악장의 선율이 베일에 싸인 채 신비스럽게 제시된 후, 3악장에 이르러 이윽고 리드미컬한 스케르초가 이어진다. 베토벤의 [‘봄’ 소나타]도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3번]과 마찬가지로 전 4악장 구성을 취하지만 브람스의 소나타처럼 심각하고 장대한 결말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밝은 분위기의 4악장의 론도 주제는 여러 차례 색다른 리듬으로 변장을 하며 새롭게 등장해 변화무쌍한 느낌을 전해준다.
- 글 최은규 / 음악 평론가, [교향곡은 어떻게 클래식의 황제가 되었는가]의 저자
※ 작품구성
제 1악장 알레그로 F장조4/4
소나타 형식.첫머리에 흐르는듯한 상쾌한 선율로 연주되는 것이 제 1주제이며 이것을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 하는 것이 연주자들의 최대 고민이기도 하다. 4째마디와6째마디에서 하강음형이 나타난다 이 두개의 음에 의한 하강음형은 바로크 시대로부터 하나의 기법으로 정착된 것으로 (희망의 동기)라도고 불린다. 베토벤은 이 동기를 좋아하며 많은 작품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교향곡 제 9번의 제 3악장25번째마디부터 제 2바이올린과 비올라에 의한 안단테 모대라토의 테마(교향곡 제9번)와 같은 것은 이 희망의 동기만으로 쓰여졌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이 동기에 대해 가진 애착은 남다른 것으로 보인다. 이 동기는 바이올린 소나타에서도 제 5번뿐만 아니라 제 1번의 제 1악장 제 2주제에서도 발견되므로 주목할만하다. 또한 이 제 5번의 제 1악장 37째마디부터 강한 힘을 느끼게 하는 제 2주제가 연주된다. 이 악장은 이 두개의 대조적인 주제로 이루어진다. 발전부에서 처음 나타나는 셋잇단음은 듣는 이들을 숨막히게 하는데 베토벤은 긴장감을 높이기 위해 셋잇단음표를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우리를 감탄하게 한다.
제 2악장 아다지오 몰토 에스프레시보 Bb장조3/4
느리게 연주하며 적절하게 아고긱을 덧붙이면 후기 낭만파를 연상시키는 악장이다. 이무렵 베토벤의 낭만성은 아주 심화되었던 것 같다.2째마디부터 9째마디까지 연주되는 피아노 선율이 주선율이며 이것을 바이올린이 반복하는데 연주자나 듣는이들을 아주 행복한 기분에 젖어들게 한다. 20째마디와 21째마디에는 앞에서 얘기했던 (희망의 동기)를 사용하여 더욱 행복한 시간이 오기를 바라는 듯하다. 30째마디부터 나타나는 피아노의 주선율 장식도 아름답다.
제 3악장 스케르쪼 알레그로 몰토 F장조3/4
연주시간이 약1분 조금 넘는 짧은 악장이다.제 2악장에서 제 4악장으로 가는 다리역할,또는 간주곡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주부는 피아노로 가볍게 시작되며 트리오 부분은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3도나 6도 음계의 상승과 하강이 특징적이다.
제 4악장 론도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2/4
제 1주제로 시작하며 38째마디부터c단조의 제2주제가 나온 후 다시 제 1주제가 나타난다. 이후 73째마디부터 강한 싱커페이션의 제 3주제가 연주된다. A-B-A-C-A-B-A코다로 도식화할수 있 으며 마지막에는 셋잇단음의 연속으로 힘차게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