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교향곡 5번 "운명" C단조

■ "운명은 이와 같이 문을 두들긴다" 베토벤 교향곡 5번

베토벤 교향곡 5번, 흔히 '운명교향곡'이라고 불리는 곡이다. '운명'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베토벤이 한 말에서 나왔다. 어느 날 베토벤의 제자가 1악장 서두의 주제는 무슨 뜻이냐고 물었을 때 베토벤이 "운명은 이와 같이 문을 두들긴다"라고 했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운명'교향곡이라는 별칭은 다른 나라에서는 쓰이지 않고,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만 그렇게 부른다.

 

베토벤 운명은 3번 '영웅'을 완성한 후인 1804년부터 작곡을 시작했다. 그러나 다른 곡들 때문에 작업이 미루어지다가 1807~1808년경에 집중적으로 작곡되어 완성되었다. 그때 베토벤은 6번 전원도 작곡을 병행하였다. 그래서 5번의 초연이 1908년 12월 22일에 있었는데, 같은 날 6번도 초연이 이루어졌다. 초연이 이루어지는 연주회 때 6번이 먼저 연주되어, 세상에 공개된 것은 5번이 6번보다 조금 늦었다는 것도 흥미롭다.

 

이 곡을 작곡할 당시의 베토벤은 큰 시련을 겪고 있었다. 30대 중반의 베토벤의 귀는 점점 나빠지고 있었고, 나폴레옹이 빈을 점령하는 등 그가 사는 세상도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그러니 이 교향곡을 운명을 극복하는 인간의 의지와 환희를 그렸다고 해석하는 것도 그럴 듯하다. 곡을 들으면 1악장에서 시련과 고뇌가, 2악장에서 다시 찾은 평온함이, 3악장에서 쉼 없는 열정이, 4악장에서 도달한 자의 환희가 느껴진다.


■ 간결하며 단 한 음도 버릴 데가 없는 치밀한 구성력
이 곡은 초연이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큰 인기를 얻게 되었고 결국 클래식을 상징하는 곡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서두의 4개의 음 주제가 2차 대전 당시 BBC 뉴스의 시그널로 쓰여서 더욱 유명해졌다. 그렇게 된 이유는 이 리듬이 모르스 부호 V, 즉 승리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전쟁시에는 적국의 작곡가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꺼리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곡이 독일과 적이었던 영국의 국영 방송의 시그널로 쓰였다는 것은, 누구나 이 곡이 인간 사이의 갈등이나 전쟁 따위는 뛰어넘는 인류의 명곡을 인정했다는 것이 아닐까?


[ 악곡 해설 ]

이 곡은 베토벤이 38세 때 작곡한 다섯번째의 교향곡이며, 음악 이외에 정신적 고뇌를 표현하려고 시도한 점이 특징이다. ‘운명 교향곡’이라는 부제가 붙은 것은, 베토벤의 친구 신틀러가 제1악장 제1주제의 동기를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라고 말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 곡은 다른 교향곡과는 달리, 제3악장과 4악장을 쉬지 않고 계속 연주하는 점이 특이하다.


[ 제 1 악장 ] 알레그로 콘 브리오, 다 단조, 소나타 형식

첫머리에 현악기와 클라리넷이 힘차게 제 1 주제를 연주하는데 이 주제가 제 1악장 전부를 지배하며, 모든 것이 여기서부터 생긴다는 감을 갖게 한다. 심각하고 강렬한 느낌이 나는 의미 심장한 악장이다.


[ 제 2 악장 ] 안단테 콘 모토, 내림가 장조, 자유로운 변주곡

2개 부분으로 되어 있는 주제의 선율은 자유로운 변주곡 형식으로 엮어져 전개된다. 느린 템포의 주제는 조용하고도 명상에 잠긴 듯한 선율이 중심이 되어 여러 형태로 세 번 의 변주를 거쳐 간다.


[ 제 3 악장 ] 알레그로, 다 단조, 겹세도막 형식에 의한 스케르초

주제가 2개가 있으며 빠른 템포의 춤추는 듯한 리듬을 가진 곡인데 명랑하다기보다는 오히려 비통한 소리로서 절규하는 기분이다. 한편 신비롭고 경쾌한 맛도 보이다가 끊기지 않고 다음 악장으로 넘어간다.


[ 제 4 악장 ] 알레그로, 다 장조, 소나타 형식

제 3악장의 스케르초에 비하여 제 4악장은 아주 맑다. 마치 개선하는 것 같이 전부 합주하면서 힘차게 시작된다. 힘차고 호탕한 악장인데 지금까지 긴장된 것이 점차 부풀어 올라 마침내 폭발하면서 웅장한 테마가 모습을 나타낸다.


교향곡 5번 '운명'은 베토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많이 알려져 있는 곡이다. 불세출의 천재성을 타고났지만 갖은 고난과 싸워야 했던 베토벤의 파란만장한 인생과 불굴의 예술혼을 대하는 것 같아 숙연해지게 만드는 작품이다. 특히 이 곡은 자신의 귓병과 싸우면서 썼으며, 음악가로서 청력을 잃게 되는 운명에 대한 절규를 나타낸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각 악장별로 살펴보면 1악장은 자신의 운명을 표현하는 것 같다. 무언가 슬프면서도 웅장하고 곡조가 아름다우면서도 슬픔이 담겨있는 것 같다.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이며 빠르게 진행된다. 제시부에서 현악기들이 연주하는 "따다다 단~" 이 부분(제1주제)은 곡 전체를 이끌어나가는 주제이며, 베토벤 작품의 특징인 씩씩하면서도 장엄한 강렬함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부분인 것 같다. 뒤이어 클라리넷의 부드러운 연주가 이어지다가(제2주제), 곧 또 휘몰아치는듯한 연주가 계속된다. 1악장을 들으면서 내내 마음이 긴장됬다 풀렸다 반복됨을 느낄 수 있다.

제 2 악장 안단테 콘 모토 Ab장조 3/8박자. 자유로운 변주곡 내림가장조.
2개 부분으로 되어 있는 테마의 선율은 자유로운 변주곡 형식으로 엮어져 전개된다. 느린 템포의 테마는 조용하고도 명상에 잠긴 듯한 선율이 중심이 되어 여러 형태로 세 번 의 변주를 거쳐 코다를 지나 끝난다.

변주곡은 짧은 주제를 바탕으로 해서 소리와 음의 변화를 주어 매우 뛰어난 베토벤의 창작성을 보여줍니다.

2악장의 주제는 부드럽고 절정위기에 다달은듯한 느낌도 들고, 폭풍우같은 거칠은 느낌도 든다.

클리라넷 파곳 비올라 첼로 등의 악기로 부드러움을 자아내 듣는 이에게 감미로움을 주는것 같다.

3-4악장은 이어지는게 특징이다. 3,4악장은 1악장과 달리 변화를 주어 장엄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아름답고 경쾌한 음으로 새로운 느낌을 주는 것 같다. 스케르쪼. 쾌활하고 익살스러운 느낌을 준다.

3악장은 조용하면서 침울한 느낌이 들지만4악장으로 넘어가면서 경쾌하면서도 밝은 느낌이 든다.

1악장과 대조되게 4악장은 희망찬 분이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