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토션 (Distortion)

디스토션은 원래는 앰프에 의해서 자연 발생하는 오버드라이브 톤을 시물레이트 한 것이므로 이펙터라고 잘라 말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하지만 그 결과물의 확연한 차이와 창의적인 활용, 오리지널 톤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 이펙터의 하나로 생각하고 가는 걸로 한다.

디스토션의 효과는 크게 서스틴과 파워의 두 가지이다. 이 두 요소는 사실 기타에 있어서 절대 부족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타라는 악기는 원래가 볼륨도 작고 한번 퉁긴 음의 지속시간도 매우 짧은 넘이기 때문이다.

바이얼린 같은 활로 켜는 악기는 활을 움직이는 한 언제까지나 음을 지속할 수 있고, 마찰이 계속되는 만큼 작은 몸통에도 불구하고 소리는 상당히 큰 편이다.

하지만 통기타나 클래식 기타를 잡고 아무 음이나 짚은 다음 피크로 튕겨보면, 소리 자체도 크지 않을 뿐더러 채 몇초도 되지 않아 음이 사그러들어 버리고 만다. 전통적으로 오케스트라 편성에 기타가 잘 포함되지 않는 이유도 바로 이런 문제 때문이다. 다른 악기의 큰 음량에 묻혀서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것이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앰프를 연결해서 전기적으로 소리를 증폭하는 일렉트릭 기타가 등장한 셈이다. 일렉트릭 기타의 등장으로 피아노와 콘트라베이스, 드럼, 색스폰 등 소리가 큰 악기들 사이에서 재즈 앙상블을 이루어내는 것이 용이해졌고, 이후 50년대에 등장한 록큰롤에서는 기타가 메인 악기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록큰롤의 강렬함을 표현하는데에는 그저 통기타 소리를 크게 만들어놓은 것에 가까운 소리로는 부족함이 있었고, 여기에서 응용되기 시작한 것이 바로 앰프의 입력 - gain - 을 올려서 소리를 찌그러뜨림으로서 박력있는 사운드와 파워를 얻어내는 방법, 즉 오버드라이브였던 것이다.

초창기의 오버드라이브는 일종의 편법이었던 만큼 노이즈가 심했을 뿐 아니라 소리의 질 자체도 그리 좋지 못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인위적으로 이 사운드를 내 주는 '퍼즈' 나 오버드라이브, 디스토션 등의 페달이었고, 이것들이 지금 사용하는 페달형 디스토션류의 원형이 되었다. 이후 헤비메탈, 트래쉬메탈, 데쓰, 하드코어 등으로 발전하면서 더욱 강력한 디스토션이 등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디스토션은 메이커나 제품마다 특성이 강하므로 본인이 연주하려는 음악 스타일에 맞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Ex: 트래쉬 메틀- Boss 'Metal Zone') 그리고 디스토션의 양을 적당히 조절해서 자연스러운 소리를 얻어내는 노하우를 갖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토션에는 Gain(디스토션의 양), Tone, Output(볼륨) 등의 다이얼이 달려 있는데, 이걸 잘 활용하여 본인이 필요로 하는 서스틴은 어느정도인지, 파워는 얼만큼인지... 등등을 잘 생각하면서 사운드를 메이킹해 보자. 디스토션은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것이지만, 좋은 톤을 얻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이펙터인 것이다.

                                                                           - 딴지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