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주곡집 <조화의 영감> Op.3 (전12곡)
   ( Concerti "L'estro armonico" Op.3 )

※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 - 1741)
안토니오 비발디는 1678년 베네치아에서 태어나 1741년 빈에서 세상을 떠난 이탈리아의 위대한 작곡가인 동시에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가 였으며, 또한 교육가이기도 하였다. 1703년 카톨릭 성당의 사제로 출발하였으나 건강이 나빠져 1년 후에 물러나 그 후로는 전적으로 음악에 헌신하였다. 비발디는 붉은머리였기 때문에 항상 '빨강머리의 사제'라고 불리웠었다. 그리고 1703~1740년까지 베니스의 여자 고아원인 피에타 음악학교의 지휘자 겸 작곡가, 교사, 음악 감독을 역임했었다. 그는 이 학교를 위하여 모테트와 칸타타, 오라토리오 등을 작곡하였다. 특히 비발디가 결정한 3악장(알레그로-아다지오- 알레그로)에 의한 협주곡 형식은 J.S.Bach에게 영향을 주어 바로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협주곡 형식이 되었다.

비발디는 미사절례를 앞두고도 온데 간데 없이 사라지기 일쑤였다고 한다. 사방을 찾아다니노라 면 수도원 으슥한 구석에서 바이올린이나 켜고 있는 것을 발견하곤 했다니, 결코 모범적인 사제는 아니었 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작곡가겸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그의 명성은 이미 전 유럽에 퍼져 있었다. 25세 때는 피에타 여자 음악원의 바이올린 교사로 임명되었다. 여성으로만 구성된 그 곳의 오케스트라는 상당히 수준이 높아 그녀들을 위해 많은 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똑같은 곡을 1백곡이나 써갈긴 사람이다.' 이것이 험담가로도 유명한 후세의 스트라빈스키가 비발디를 가르켜 비꼬아 한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비발디는 교회용, 행사용 등등으로 몇 개 악장으로 된 꽤 긴곡을 평균 2,3일에 한 곡씩은 써야 할 처지였다. 사보가들이 미처 따라오지 못할 만큼 초고속으로 작곡을 해댄 결과 그는 협주곡만 해도 450곡이나 남겼으니 그게 그거라고 할 정도로 서로가 엇비슷해질 수밖에. 45세 무렵 비발디는 안나 지로라는 여가수를 알게 되어 순회공연까지 함께 다녔다. 당연히 사제로서 미사를 빼먹는 일은 더욱 잦아졌고, 그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눈길이 고울 리 없었다. 베네치아에서의 그의 평판은 갈수록 땅으로 떨어졌다. 결국 그는 고향을 떠나 유럽 각지를 전전해야 했다.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극도의 빈곤 속에서 객사한 것은 그의 나이 63세 때였다. 피붙이라고는 없었던 그를 기다리는 곳이라고는 빈 변두리의 쓸쓸한 빈민묘지 뿐이었다.

비발디의 음악은 한때는 잊혀져가는 듯했지만 2차 대전 이후로 다시 소생해 세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 실내악단에서는 그의 각종 악곡들을 빼놓을 수 없는 스탠더드 레퍼토리로 삼고 있다고 하며, 비발디의 협주곡 중에서 제5번 A장조 <바다의 폭풍우>, 제6번 A단조 <즐거움>, 제7번 D장조, 제18번 G단조, 그리고 <사계>는 너무나 잘 알려진 곡이다. 이 사계는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의 선조가 된 곡으로 알려져 있다.


◇ Concerto No.1, RV 549 in D(협주곡 1번 D장조)
네개의 바이올린 오블리가티(obbligati)와 한개의 첼로를 위한 콘체르토 제1번 D장조는 첫 악장에 서 비발디의 독창적인 형식과 음악의 기본 형식을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수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1, 제2 바이올린은 모방적 테마로 시작되나 이것의 8분음표 장식음은 솔로 바이올린과 솔로 첼로가 16분음표 장식음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투티(총합주곡)에서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중간 악장에서 솔로 바이올린이 비올라의 반주로 장식음을 연주하는 동안 Octavee Unison 의 테마는 Ritomello를 3번 반복한다. 이 작품은 생생하고 광범위한 9/8박자의 악장으로 끝을 맺게 되는데 여기에서 잠시동안 솔로와 투티는 일치하는 테마적 요소를 갖게되며 이 요소는 긴 솔로 부분에서 장식음과 Passage Work로 확산되어 가는 것이다.

◇ Concerto No.2, RV 578 in G minor(협주곡 2번 G단조)
제2 콘체르토 G단조는 완만한 서주로 시작되며 이것은 엄숙한 분위기를 노출 시킴으로써 교향음악을 위해 쓰여진 작품이라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이어지는 알레그레토의 투티 테마는 16분 음표의 진행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점차 분위기는 고조되어 간다. 솔로 바이올린 패시지 또한 16분 음표로 진행되며 이것은 투티의 모티브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라르게토에서 때로는 크게 때로는 조용한 부점리듬은 리토르넬로를 형성한다. 박자와 박자 사이에서 Contilena는 투티에 끼어들게 되며 독주악기에 의해 울려퍼진다. 마지막의 알레그로는 12/8박자로 되어 지그의 형식을 갖고 있으며 간략한 반음계로 상승하는 모티브는 놀랄 만한 하모니를 보여준다.

◇ Concerto No.3, RV 310 in G(협주곡 3번 G장조)
세번째 작품인 솔로 콘체르토 G에서 솔로 바이올린은 2악장, 3악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솔로와 투티 사이의 Bar exchange에 의한 소절은 다음에, Cantilena는 2악장에서 점차 확산되며, 3악장에서 긴 솔로 패시지는 모짜르트에 의해 반주되어 진다. 꼭 필수적인 b단조의 전조를 가진 제1악장은 표준 콘체르토 양식으로서 좋은 예가 된다.

◇ Concerto No.4, RV 550 in E minor
다른 작품과는 달리 네개의 바이올린으로 구성된 제4 콘체르토 E단조는 4개의 악장을 가지고 있다. 이 작품의 모티브는 멜로디의 문제가 있어서 솔로와 투티가 서로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모티브는 첫번째 안단테에 통일성을 주고 있다. 뒤에 이어지는 알레그로에서 솔로 바이올린은 하나의 바이올린 또는 두 세개의 바이올린으로 연주된다. 첫 악장의 달콤한 분위기는 화려한 대가적 수법에 의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몇 소절에 불과한 간략한 아다지오는 곧이어 등장할 알레그로의 활달한 연주를 위해 호흡을 가다듬을 여유를 주고 있다. 이 악장에서 보여 주고 있는 가장 간단한 하모니 관계, 계속되는 솔로와 투티의 상호작용 그리고 여기에서 풍겨나오는 투명한 음악성은 우리가 비발디에서 느낄 수 있고 또 찬양하는 신선한 광택과 우아함을 더욱 잘 보여주고 있다.

◇ Concerto No.5, RV 519 in A minor
두개의 바이올린 오블리가티를 위한 제5번 콘체르토에서 대담하게 9소절에 걸쳐있는 유니즌 오프닝은 베니스 풍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니즌은 첫악장에 3번 리토르넬로로서 나타나게 된다. 2악장은 완전히 제1번 바이올린 솔로가 차지하고 있으며 제1 바이올린은 현의 상부를 오가며 부드러운 코드를 만들고 나중에 fioriture로 발전된다. 또 뒤이은 알레그로는 솔로와 투티 사이를 오가며 연주되고 솔로 바이올린이 트릴과 스케일을 자주 이용하는 동안 3화음 장식음은 투티 모티브에게 크게 부각된다.

◇ Concerto No.6, RV 356 in A minor
바이올린을 위한 제6번 콘체르토 A단조는 잘 알려진 비발디 초기 콘체르토 중 하나이며 첫 악장과 마지막 악장에서 아름답게 꾸며진 프레스토가 특히 돋보인다.

◇ Concerto No.7, RV 567 in F
네개의 바이올린과 첼로 오블리가티를 위한 제7번 콘체르토 F장조는 안단테로 시작된다. 이 안단테는 독주악기들에게 많은 연주 기회를 주고 있으며 트리오 소나타나 쿼트로(quattro)소나타의 양식을 갖고 있다. 마지막 알레그로의 3/4박자 솔로와 투티 패시지는 대부분 동일한 모티브가 배치되는데 이는 비발디의 작품에서는 매우 드문 경우이다.

◇ Concerto No.8, RV 522 in A minor
두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제8번 콘체르토 A단조는 처리방법의 광범위함에 특히 주목할 만하다. 고전적 콘체르토에서 처럼 기본적 모티브는 제1 투티에서 소개되고 두개의 솔로 바이올린은 이 요소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제2악장에서 오프닝의 유니즌 리토르넬로는 Basso Ostinato로서 솔로 부분에서 다시 나타난다. 이 Basso Ostinato는 바흐가 고안하여 바흐의 E장조 바이올린 콘체르토의 제2악장에서 후에 사용했던 것이다. 마지막 악장은 첫악장과 마찬가지로 처리의 광범위함을 보여주는데 솔로 패시지는 풍부하고, 계속 이어지는 장식음에 의해서 확장되어 나가며 대위적인 선율에 대위법적으로 놓여지게 된다.

◇ Concerto No.9, RV 230 in D
바이올린 오블리가티를 위한 제9번 콘체르토 D장조는 매우 훌륭한 작품이다. 첫악장의 다소 강건한 오프닝 테마는 생생하게 쏟아져 내리는 물줄기처럼 계속해서 발전돼 나아가면 다음의 리토리넬리와 이어진다. 라르게토 역시도 D장조이며 Upper String의 반주로 솔로 바이올린이 8분 음표를 연주하게 된다. 또 뒤이은 알레그로는 더욱 뛰어난데 바이올린은 관악 패시지와 재빠른 16분 음표로 투티의 시작을 알리는 팡파르와 함께 시작되며, 솔로 부분은 변화무쌍한 장식음에서 3분 음표로 바뀐다.

◇ Concerto No.10,RV 580 in B minor
네개의 바이올린과 오블리가티를 위한 제10번 콘체르토 B단조는 바흐의 4개의 클라비어를 위한 개작을 통해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것에 비해 덜 알려진 원작품은 더욱 우아하고 점쟎은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나타난 촘촘한 구성은 오케스트라 소나타나 비발디와 동시대 음악가인 알비노니의 콘체르토를 연상시킨다. 첫 악장과 마지막 악장에서 솔로 바이올린은 다양하게 솔로 첼로와 조화되며 각각의 독주악기들은 각자의 임무를 행한다. 한편 솔로와 투티 부분에서는 서로 대조되는 점을 많이 찾아 볼 수 있으며 투티에 밀집되어 있는 많은 음들이 콘티누오에서 솔로 패시지에 의해 여러번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라르게토에서 비발디는 네개의 다른 조율 방법을 통해서 바이올린 아르페지오에 대해 뛰어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 Concerto No.11, RV 565 in D minor
두개의 바이올린과 첼로 오블리가키를 위한 제11번 콘체르토 D단조는 소위 "Perfidia"라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두개의 바이올린이 각각 3화음 수식(triad figures)을 통해 가깝게 접근하며 솔로 첼로는 그들 솔로 바이올린에게 떨리는 8분 음표의 장식음으로 답변하는 것이다. 아다지오의 세개의 소절은 솔로 악기의 등장과 함께 계속되는 푸카토에서 간주곡 패시지로 다시 결론으로 나아간다. 두번째 악장에서의 몇몇 투티 소절은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피아니시모 코드와 함께 솔로 바이올린에서 목가적인 칸티넬라를 구성한다. 마지막 악장에서 솔로 바이올린은 그 자신 모티브의 당당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점점 쇠퇴하여 가는 솔로 첼로의 모티브와 큰 대조를 이룬다. 한편 마지막 악장은 많은 솔로 패시지를 가지고 있으며 물론 그 연주는 대부분의 제1 바이올린이 맡는다.

◇ Concerto No.12, RV 265 in E
제6번 콘체르토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린 오블리가티를위한 제12번 콘체르토 E장조는 잦은 출판으로 비교적 처음부터 알려져 왔으며 이 작품의 촛점은 음향(sonority)에 있다. 첫 악장과 마지막 악장에서 3화음 장식음(triad figures)은 간결한 투티 리토르넬리와 솔로 패시지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한편 고상하고 담백한 반주는 느린 악장에 밝고 아름다운 효과를 주고 있다.


※ 이 무지치(I Musici)
'이 무지치'(I Musici)는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실내 합주단이다. 1951년에 결성되었고 멤버는 모두 산타 체실리아 음악원의 졸업생으로, 결성 당시엔 전원이 20세 전후였다. '이 무지치'는 이듬해 3월에 베네치아 음악제에 참가하여 그 연주실력을 인정받았고 세기의 지휘자 토스카니니로부터 "세계 최고의 실내 합주단"이라는 격찬을 받은 것을 비롯, 순식간에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 전세계로 연주여행을 하고 있다.

'이 무지치'는 1975년 이래 9번 내한 공연을 갖은바 있다. 멤버는 결성 당시 쳄발로를 포함해서 12명(이후에 13명이 되었다)으로, 지휘자는 두고 있지 않다. 스페인 태생의 명인 펠릭스 아요가 초대 콘서트 마스터를 맡아 명성을 높인 후에 미켈루치, 아카르도, 카르미렐리를 거쳐 현재는 F. 아고스티가 맡고 있다. '이 무지치'란 이태리어로 '음악가들' 이라는 뜻이다. 이 단체는 처음에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올바른 표현을 목적으로 출발했다. 사실 그 신선한 감각과 풍부한 음악은 당시의 청중에게 극히 커다란 감동을 주었는데, 그 특질은 현재도 변하고 있지 않다. 이들의 활약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 전까지 거의 사장되어 온 비발디의 음악이 빛을 보기 시작했으니 '이 무지치'를 실로 "비발디 음악의 전도사" 라고 칭해도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이 무지치'의 매력은 멤버들의 고르고 뛰어난 기교와 풍부한 음색과 선율을 마음껏 노래하는 이탈리아적인 여유를 가졌다는 것이다. 더구나 멤버 각각이 자신의 노래를 풍부하게 하면서도 절묘하게 앙상블되고 있다. 지휘자를 두고 있지 않은 만큼 최고의 앙상블을 통해 최고의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실내 합주단이라 하겠다.


※ 파비오 비온디(Fabio Biondi)
생기 넘치고 화려한 음색, 필사본을 충실하게 연구한 학구적 노력이 더해져 누구도 모방할 수 없는 음악적 카리스마를 지닌 파비오 비온디.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태어난 파비오 비온디는 12세에 RAI 심포니(이탈리아 국영방송 오케스트라)와 함께 첫 연주를 가지면서부터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일찍이 지칠줄 모르는 문화적 호기심에 이끌려 그는 15세부터 바로크 음악에 매료되었고 이는 그의 음악적 진로를 바꾸고 음악적 비젼을 확장시킨 계기가 되었다. 16세때, 그는 비엔나 무지크페라인 홀의 초청으로 바흐의 바이올린 협주곡들을 연주하였고 그때부터 파비오 비온디는 카펠라 리얼, 무지카 안티쿠아 빈, 세미나리오 무지칼레, 라 카펠라 로얄, 레 무지시옹 뒤 루브르 등의 고음악에 정통한 원전연주 앙상블에서 제 1 바이올린을 맡게 되었다.

그는 "늘 똑같은 연주는 생명력이 없다"는 신념으로 1990년, 바로크 앙상블 유로파 갈란테를 창단하였고, 이 단체는 창단과 동시에 뛰어난 레코딩과 연주로 괄목한 만한 성공을 거두었다. 세계적인 음반상을 수상함과 동시에 이미 가장 국제적으로 명망있는 이탈리아의 고음악 단체가 된 그들은 세계 유수의 페스티벌과 라 스칼라, 아카데미아 디 산타 체칠리아, 도쿄 산토리 홀, 암스테르담 콘서트헤보우, 로열 알버트 홀, 무지크페라인 빈, 링컨 센터 및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등의 콘서트홀에 초대되었다. 파비오 비온디와 유로파 갈란테의 이탈리아 바로크 음반들은 클래식 음반으로는 드물게 100만장의 판매를 기록했으며, 총 6개의 골든 디아파종 상을 비롯해, 프랑스에서는 '올해의 골든 디아파종' 상을 수상했다. 또한 RTL 상 및 스페인과 캐나다, 스웨덴, 프랑스와 핀란드에서는 '올해의 음반'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그외에 Prix du Disque for Locatelli's Concerti Grossi 와 Telerama review for the oratorio Humanita e Lucifero 에서 수여하는 "ffff"를 수상하였다.

파비오 비온디의 음악적 진보는 세계적인 레퍼토리에 대한 관심과 덜 알려진 작곡가들의 작품을 재발견하려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그가 시도한 음악들은 비발디의 '사계' 및 코렐리의 콘체르도 그로쪼, 슈베르트의 소나타, 바흐와 슈만, 스카를라티의 오라토리오와 헨델의 오페라, 그리고 비발디와 타르티니 같은 작곡가들의 18세기 이탈리아 바이올린 레퍼토리를 어우르는 방대한 영역이다. 그는 음악의 본질적 언어에 대한 탐색과 독선적이라 할 만큼 주체적인 해석을 통해 자유로운 음악적 스타일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고 있다. 또한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 로트르담 오케스트라, 니스 오케스트라, 취리히 챔버 오케스트라와 같은 유수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음악적 시도를 이어나가고 있다.
 

※ 에우로파 갈란테(Europa Galante)
파비오 비온디가 1990년 설립한 앙상블 유로파 갈란테는 짧은 시간안에 국제적인 명성을 얻으며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부활을 예고하고 있다. 그들의 첫 레코딩에서부터, 유로파 갈란테는 이탈리아 음악에 대한 자유롭고 정열적인 연주와 혁신적인 접근으로 전세계 음악팬들을 열광시켰다. 베를린 필하모닉, 비엔나 무지크페라인, 암스테르담 콘서트 헤보우 등 세계 유수의 공연장에서 연주하고 있는 유로파 갈란테는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개최되는 스카를라티 페스티벌에서도 정기적으로 연주하고 있다.

유로파 갈란테는 기악과 성악을 합쳐 네명에서부터 서른명에 이르는 구성으로 이안 보스트리지, 다니엘 데이비스, 안드레아스 숄, 나탈리 드쎄이 등과 실내악에서부터 칸타타에 이르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유로파 갈란테의 주요 레퍼토리는 18세기 기악곡을 비롯해 헨델의 아리라, 비발디 그리고 스카를라티의 오라토리오를 망라한다. 유로파 갈란테는 최근 타르티니와 카스텔로, 보케리니의 실내악곡에 새롭게 접근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탈리아 소프라노 파트리지아 키오피와 함께 녹음한 비발디의 모테트 및 바흐의 브란덴 부르크 협주곡이 있다. 2003년 봄 헨델의 오라토리오 'La Resurrezione' 의 유럽 순회 공연에 이어, 6월에는 이스탄불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에서 연주를 하였다. 최근 브라질 공연을 마치고 미국에서 스카를라티의 'La Santissima Trinita'의 미국 초연을 준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