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ck Review ]
글 수 117
76. U2
[Achtung baby] (91)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록 밴드? 그렇지만 U2 는 상찬과 경멸을 동시에 닫은 밴드였다 한편으로 그들은 경건함과 정열로 '록이 죽었던' '80년대 최고의 록 레코드로 손꼽히는 「Joshua Tree」(87)이후 하나의 팝 밴드가 아니라 하나의 문화 현상이 되었다. 이는 동시에 그들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엇갈리는 계기이기도 했다 스타일과 형식은 메시지와 내용을 각각 압도해 버렸다. 아이러니와 캠프가 난무했던 '80년대 팝의 상황에 서 아이러니 없이 순수함을 드러내려는 그들의 전략은 한계가 뚜렷해 보였다. 록의 뿌리가 있다고 믿었던 「Rattle And Hum」(88)에서의 여행 은 사태를 악화시켰다. 몇년뒤「Achtung Baby」는 이들의 진지하고 신실한 믿음이 유머, 위트, 아이러니 등과 절묘하게 어우러짐을 보여 주었다. <One>의 가사에서 보듯 이들의 감정은 여전히 강렬하고 진득하다.
그렇지만 <Myterious Way>나 <Even Better Than The Real Thing>같이 '맨체스터 사운드' 로부터 영향받은 듯한 댄스 그루브는 이 들이 새로운 표현방식을 획득했음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대형 경기장 공연에서 U2는 아방가르드 예술가의 지위도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1997년 현재, 불확실하게 "가자 가자 디스코텍으로... LOVE"라고 외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에 속한다.(신현준)
77. Pink floyd
[Wish you were here] (75)
1967년 핑크 플로이드가 데뷔 앨범을 발표할 당시만 하더라도 그룹의 기타리스트는 데이빗 길모어가 아니었다. 시드 배릿이라는 오리지널 멤더는 팀의 장단을 주도한 인물이었으나, 첫 앨 범의 성공 후 심각한 신경쇠약에 빠져서 그룹을 떠나야만 했다. 이후 데이빗 길모어가 가입해서 초기의 사이키델릭 사운드를 조금 더 폭넓게 확장시켜 나가면서 로저 워터스가 노랫말을 쓰고 길모어가 작곡을 하는 분업체제를 이루어 「The Dark Side Of The Moon」 같은 성공작을 내기에 이르른다.
그 다음 작품이 바로 원년 멤버인 시드 배릿에게 바친 본작 「Wish You Were Here」이다. 여기에는 총 9부작에 이르는 <Shine On You Crazy Diamond>와 로저 워터스가 쓴 가장 애절한 노랫말을 담은 타이틀 트랙 <Wish You Were Here>가 담겨 있는데, 핑크 플로이드가 발표한 가장 감성적인 앨범이라고 부를 만하다.
반면에 풍자적인 내용을 담은 <Welcome To Machine>과 <Have A Cigar>는 전작에서 보여주었던 효과음의 사용을 계속해서 시도하고 있어서 그들의 작픔 경향의 연속성을 느낄 수 있다. 비록 핑크 플로이드의 최고의 걸작은 아니라 하더라도, 그들의 모든 앨범들 중에서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작품임에는 틀림없다. 누군가가 그립거나 우울한 날에는 이 앨범의 노랫말을 펼쳐놓고 음악을 들어보면 독특한 맛이 느껴진다. 가사의 양은 매우 적다. 앨범 러닝타임의 70%이상이 연주니까...(김우석)
78. Jackson browne
[Running on empty] (78)
이 앨범이 록 앨범 100선에 선정된 이유는 명확하다. 바로 사람의 감성을 흔드는 레퍼토리의
모음집이기 때문이다. 스튜디오와 라이브라는 특이한 구성의 이 음반은 변함없이 컨트리 록의 여 정을 걸어온 잭슨 브라운의 예술적 극점의 구현 판이요, 집대성판이라 할 만하다 로드 스튜어트, 블론디, 도나 서머, 심지어 롤링 스톤즈마저 디스코의 거센 광풍에 편승하여, 톡톡히 재미보고 있을 무렵, 음악계에서 툭 던져진 이 한 장의 음반은 차트의 상위권을 뒤흔들었다. 온통 댄스판이었던 음악계에 이 음반은 사람들의 서정성에 호소했고, 그것은 주효했다.
저항적 노랫말과 인생의 본질 문제에 깊이 천착해 온 그는 이 앨범에서도 자신이 동승할 수 없는 삶과 그 어두운 단면들을 그리고 있으며 <Running On Empty>, <Shaky Town>, <The Load>의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인생의 무상함과 허무의 색채는 전작들보다 한결 짙어졌다. 이같은 회색빛 우울은 많은 부분, 아내의 자살이라는 중격에서 기인하고 있다. 그리고 데뷔 당시의 저항적 메시지에서 인생 문제로 귀착하기 시작한 그의 뚜렷한 방향 전환 역시, 이 앨범에서 한결 그 농도가 짙어졌다. 아울러 이 앨범의 엄청난 상업적 성공으로 말미암아 '70년대 지성인들의 우상이었던 그는 확고한 대중 가수로서의 지위도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부자연스럽고 산만한 구성은 흠으로 남는다 누가 뭐라해도 국내에서 만큼은 '확고한 명반' 그리고 그 지위는 바로 이 곡, <The load-Out / Stay>때문이다 이 앨범은 그의 5번째 작품이다. (박신천)
79. Whitesnake
[1987] (87)
딥 퍼플의 해산 후 근 10년간 화이트스네이크를 이끌어 오던 데이빗 커버데일과 타이거스 오팬탱, 신 리지를 거치며 실력을 인정받은 존 사이크스. 한창 물이 오른 두 브리티쉬 록의 거물이 만나 탄생한 수퍼 베이비가 바로 이 앨범이다. 물론 이건 화이트스네이크가 아니라는 골수 팬들의 말도 맞다. 그간 커버데일이 미키 무디, 버니 마스덴과 함께 만들어 내던 블루지한 사운드와는 거리가 있는 게 사실이다. 그리고 그건 데이빗 커버데일 자신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1987」을 만들어 낸 밴드의 이름이 화이트스네이크이건 아니건 간에 이 앨범이 대 단하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다. 자신의 곡을 다시 리메이크한 <Here I Go Again>과 존 사이크스 특유의 도회적 편곡이 돋보이는 <Is This love>는 상업적이라 욕먹기에 너무나도 완벽하고, 역시 전작(前作)의 수록곡을 새로 연주한 <Clying In The Rain>에서의 커버데일의 보컬과 사이크스의 기타는 만국공통어라는 에스페란 토로도 형용이 불가능할 듯. 하지만 앨범의 정점이자 밴드 결성 이래 죄대의 명곡으로 그 누구도 믿어 의심치 않을 <Still Of IThe Night>만으로도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없다.(윤병준)
80. Public Enemy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96)
이 앨범은 음악으로 본 '80년대 미국 흑인들의 농축된 의식' 이다 하지만 정치 지도자 제시 잭슨이나 운동권의 총수 루이스 패러칸의 설교 못지 않게 위력적이고 또 선동적이다. 과격하다 못해 (시체말로) 살벌하다.
'80년대 흑인 음악은 말할 것도 없이 랩. 전보다 현실이 더욱 각박해진 도시의 게토 흑인들이 지껄이며 분노를 터뜨리는 음악이다. 공적(公敵; Public Enemy)이라면 이러한 성격에 주목해서 거기에다 드높은 흑인의식을 담는 것은 당연지사 아닌가. 공적의 대표 척 디(Chuck D)의 일성. "난 마빈 게이의 명반 「What's Goin' On」을 힙 합으로 해석한 것을 만들고 싶었다" 프로듀서 행크 쇼클리의 생각도 같다. "사람들은 랩을 그냥 소음(지껄임)으로만 여긴다. 그걸 노이즈라고 생각한다면, 소음을 제대로 보여주자 그러나 동시에 뭔가 생각할 수 있는 꺼리를 던져주자!"
뭔가 생각하지 않으면 이 앨범은 느낌이 없다. 음악팬들은 그러나 여기에 수록된 <Don't Believe The Hype>, <Rebel Without A Pause>, <Bring The Noise> 그리고 <Party For Your Right To Fight>을 들으면 즉각 이 그룹이 잔뜩 화가 나 칼을 갈고 있다는 것을 안다. "흑인들이여 깨우치자! 모이자! 떠들자! 그리고 나가 싸우자!"고 부추기고 있다는 것을 안다. 이 건 갱스타 아닌가.
이후 L.A.서 번성한 갱스타 랩의 '롤 모델' 이 된 앨범이다. 형식은 메탈 랩. 그래서도 록계가 높게 평가한다. 소란의 정당성 선언, 투쟁의식 고취, 백인 지배사회와의 일전 불사 태세가 메아리 친다. 정말 이 앨범 이후로 많은 흑인들이 무서워졌다. (임진모)
81. Smashing Pumpkins
[Gish] (91)
스매싱 펌킨스의 어떤 앨범이 가장 훌륭한가는 앞으로 10년쯤 뒤에나 논의될 일이다. 이들이 지금까지 발표한 모든 작품은 전부 '90년대를 대표할 명작이고 고유한 오리지널리티를 갖고 있다.
이 앨범 100선에서는 「Siamese Dream」과 「Mellon Collie And The Infinite Sadness」를 제치고 대중적으로 가장 덜 알려진 그들의 데뷔작이 선정되었다. 이 결과는 자못 의외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평론가들이 이 앨범의 작품성을 높이 평가하고 선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Gish」가 다른 작품들과 명확히 구분되는 특징은 가장 인디적이며(사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는 마이너 배급망인 캐롤라인 레이블에서 발매 되었다) 순수하다는 것이다. 또 가장 사이키델릭 하다.
「Siamese Dream」과 「Meilon Collie And The Infinite Sadness」는 상대적으로 다분히 메탈적이고 아트 록 지향적이다. 리더인 빌리 코건이 어느 시상식에서 베스트 얼터너티브 상을 수상하면서 한 말, "우리가 아직도 얼터너티브라니 믿어지지 않는다"라고 한 그 얘기가 바로 현재의 그들의 위치를 잘 표현하고 있다 그들은 이미 록계에서 공룡과 같은 거대 밴드인 것이고 그만큼 얻은 것과 잃은 것도 많다. 「Gish」는 바로 지금의 그들이 잃어버린 것을 아쉬워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선정된 것이다. 격렬함과 우아함, 폭력성과 고요함, 광기와 냉철한 지성 등 모든 상반된 요소들이 완벽하게 어우러져 있다. 또 하나, 이 앨범의 특기할 점은 프로듀서 버치 빅의 역할이다. 현재 가비지를 이끌고 있는 그는 '90년대 초 얼터너티브 혁명의 가장 혁혁한 공로자일 것이다(이 100선에서 1위를 한 「Nevermind」도 그의 손에 의한 것임). 사운드의 완급 조절에 탁월한 그의 실력이 여기서도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빌리 코건과 부치 빅, 두 천재의 만남이 현재의 스매싱 텀킨스를 있게 했고 이 작품은 굳건한 초석이었다. 음악 애호가들이 격언처럼 하는 말 중에 이런 얘기가 있다. "어떤 아티스트든 데뷔 앨범을 구입하면 실패하지 않는다" 이 말은 스매싱 펌킨스에게도 100%적용된다. (정원석)
82. Peter Gabriel
[Peter Gabriel 3] (80)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는 라이브 앨범 「Seconds Out」을 비롯하여 여러 장의 컨셉 트 앨범으로 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아왔다. 제네시스는 두 번 그들의 음악을 확연하게 변모시 켰는데, 첫 번째의 변화는 첫 번째 앨범에서 두 번째 앨범인 「Trespass」사이. 지금에 와서는 아
주 입수하기가 힘든 제네시스의 데뷔 앨범은 듣고 있으면 웃음을 참느라 눈물이 나오는 최악의 앨범이었다. 2,3분대의 짧은 곡들은 모두 만들다가 만 것 같은 팝송으로 가득 채워졌는데, 두 번 째 앨범에서 보인 변화는 '록계의 7대 수수께끼' 에 집어넣을 수 있는 대사건이었다.
피터 가브리엘이 탈퇴하고 나서 이 그룹의 음악은 또 한 번 달라졌다. 그 변화에 대해서는 찬반양론이 거론될 수 있으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제네시스는 피터 가브리엘의 밴드였다는 사실이다.
탈퇴 후 그는 두 장의 같은 이름의 앨범 「Peter Gabriel」을 발표하였는데, 둘 다 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여기 선정된 작품은 나중에 발표된 것으로 피터 가브리엘의 통산 세 번째 작품이며, <Biko>는 그 가장 대표적인 곡이다. (신용현)
83. Madonna
[Immaculate collection] (90)
아마도 이 앨범은 여기 100장의 리스트를 통틀어 가장 이질적이며 예상치 못했던 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앨범은 이 리스트가 건져낸 가장 돋보이는 개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록 음악의 엄숙주의로부터 탈피함은 물론이고 유교적 성차별의 관습에도 쐐기를 박음으로써 록이, 록 매니아들이 지향해야 할 카운터 파트로서의 역할에 비로소 연대동참을 선언하는 시금석... 이라고까지 장황하게 떠들지 않더라도, 이 앨범이 국내 음악팬들의 심각한 탐미주의 음악 듣기습관에 통렬한 카운터 펀치를 날린 작품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촌스러운 신서사이저 음향의 단순반복 패턴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역사상 가장 관능적인 팝 스타의 매력을 확인하는데 조금의 모자람도 없으며, '비범한 여인(She' s So Unusual; 신디 로퍼. 아시다시피)을 능가한 저력은 바로 그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처녀처럼(Lilke A Virgin)' 등장한 자의식 강한 '럭키 스타(Lucky Star)'가, '당신 자신을 표현(Express Yourself)'하고 '소중히(Cherisf)'하며, '자신의 사랑을 정당화(Justify My love)'해가는 10년 간의 과정을 보여주는 생생한 다큐멘터리이며, 에비타를 꿈꾸는 명예욕의 노예가 되기 이전의 순수했던 '창부' 로서의 마돈나를 추억하게 하는 각진 앤솔러지. (박은석)
84. Megadeth
[Peace sells...But who's buying?] (86)
메탈리카와 더불어 스래쉬의 양대 산맥으로 군림하던, 그리고 지금까지도(전과는 상이한 변 질된 사운드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향력을 잃지 않고 있는 메가데스는 여타 스래쉬 댄 드들과는 다른 음악적 노선을 걸어왔다.
각각의 멤더들이 기본적으로 갖춘 스피드와 파괴력에 있어서의 강력한 파워 외에 이들의 음악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코드와 곡 진행의 복잡성과 난해함이다. 그래서 단 한 번만 들어도 뛰어난 작곡 실력이 그대로 드러나는 메탈리카의 음악과는 달리 메가데스 사운드의 참 맛을 알 기 위해서는 여러 번을 반복해서 들어야 한다. 물 흐르듯 자연스레 진행되지 않는 수많은 변박 악절과 다양한 리프야말로 이들의 음악을 들을 때 전해지는 쾌감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아이언 메이든의 에디와 함께 늘 '건전한'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빅 래틀헤드의 모습은 국내에서 정식으로 발매될 수 없었던 본작에 목말라 하던 이들에게는 너무도 멋진 상징이었다.
데뷔작에서의 다소 산만하던 느낌은 사라지고 스래쉬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본작에 이 르러 밴드의 본령(本領)은 여지없이 나타난다. 속사포처럼 쏘아대는 가 새뮤엘슨의 더블 레이스 드럼과 데이브 머스테인, 크리스 폴랜드의 트윈 기타 라인이 이루어 내는 사운드는 분명 기존의 귀에 익숙한 소리와는 다른 것이었다.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이들만의 뛰어난 역량이 담긴 스래쉬의 걸작이다. (김경진)
85. Frank zappa and the mothers of invention
[We're only in for the money] (68)
본 앨범은 사이키델릭 시대의비틀즈 명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67) 의 패러디 즉, 풍자적 조롱이다.(참고로 국내에 달매된 CD는 '67년 발매됐던 본작 「We' re Only In It For The Money」에 그 이듬해인 '68년 솔로 앨범으로 발매되었던 「Lumpy Gravy」의 합돈인 딜럭스 영태다.)
이 앨범 역시 프랭크 자파 특유의 전위적이고 아방가르드적인 색채로 가득차 있다. 사이키델릭 의 매괘한 소음이 난무하는 <Are You Hung Up>, "난 낙오자(Drop Out)로 남을거야"라는 신랄한 독설의 <Who Need The Peace Corps>, "엄마, 사람들이 그러는데요, 군인들이 소년들을 총으로 쐈대요. 엄마, 당신의 아이들이 군인들의 총을 맞고 공원에서 죽어가고 있어요." 라는 내용의 - 반전시위 대학생들에 총격을 가해 사망자들이 속출한 켄트 주립대 사태에 대한 분노를 팝 아트의 전위적인 양식으로 그리고 있는 <Mom a Dad>등, 위트와 광기로 번뜩이는 1, 2분대 짧은 트랙들이 메들리로 계속 이어진다. 그러나 이 앨범에 담겨있는 곡들은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이며, <Concentration Moon>같은 곡은 비틀즈의 그 뛰어난 악곡을 무색케 할 정도다.
재즈에 클래식, 하드 록 그리고 전위적인 팝 아트에 이르기까지, 프랭크 자파의 음악에 대한 탐식은 끝이 없었다. 아방가르드 록의 대부로서 프랭크 자파는 사망하기 전까지 그 실험의 끈을 놓지 않았다.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걸작이되, 사회성/정치성의 부재라는 치명적 약점을 갖고 있다. 프랭크 자파의 본 앨범은 바로 이러한 비틀즈의 '시대정신의 부재 비틀어보기' 이며,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가 몰고 온 열풍에 상대적 으로 소외됐던 동시대 천재 뮤지션의 답례품인 셈이다. (박신천)
86. Elvis Costello
[Armed fores] (79)
너도 나도 죽기살기로 으르렁 거려야만 했던 '70년대 말의 영국 록 음악 씬. 못사는 친구들의 심정을 대변하는 펑크 밴드들이 클럽가를 수놓는 가운데 고시생 이미지의 한 인물이 기타를 들고 홀연히 등장했고 그는 통열한 비판과 자기주관을 앞세우며 일순간에 펑크 륵의 스타로 떠올 랐다.
당시 매스컴과 평론가는 갖가지 미사여구로 그를 떠받쳤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그와 거리가 멀었고,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그에 대한 찬사와 인기는 언제나 반비례할 뿐이다. 엘비스 코스텔로. 그는 영원한 비주류의 이름이다. 좋은 음반의 기준이 되는 것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많이 팔려서, 독설을 담고 있어서, 그것도 아니면 당시 사회상을 대변해서. 엘비스 코스텔로의 3번째 앨범인 「Armed Forces」는 펑크 로커답지 않다는 이유 때문에 오히려 각광을 닫게 된 케이스다. 펑크, 뉴 웨이브 시대가 낳은 죄고의 싱어송라이터 엘비스 코스텔로는 3집을 통해 익숙한 코드 진행과 설득력있는 멜로디를 구사하며 사회의 독소라는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음악적인 변신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소위 '코끼리 앨범'으로 알려진 본작에는 그의 최강의 넘버들로 평가되는 <Accidents Will Happen>, <Oliver's Army>를 시작으로 '80년대 신경향을 예언한 <Moods For Moderns>. 평화의 예찬과 전쟁의 경고를 동시에 담은 <Two Little Hitlers>등 다양한 주제를 선도이고 있다.
단편적인 시각의 펑크 로커에서 질 높아진 문제 제기를 끄집어내는 문화 혁명자로 성숙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초기 4장의 작품 중 가장 낮은 평가에 머물렀던 본작은 재 발매를 통해 엘비스 코스텔로 최상의 아이템으로 둔갑하게 된다 (라이브를 포함한 8곡의 진귀한 보너스 트랙 수록).(이종현)
87. Captain beefheart & his magic band
[Trout mask replica] (69)
이것은 예정된 컬트였다. 그리고 동시에, 이것은 희대의 해프닝이었으며, 모순의 극치를 이 끌어낸 마법이었다.
캡틴 비프하트와 웃기는 이름 - 주트 혼 롤로, 안텐네 지미 세멘스, 더 마스카라 스네이크, 로 케트 모튼, 드럼보 - 을 가진 그의 멀티 인스트루 멘틀리스트 (실제로 악기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장담할 수 없는) 친구들은, 프랭크 자파라는 당대의 기인을 프로듀서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송어' 들을 복제해냈다.
차트 근처에는 가보지도 못한 이 앨범이 록 역사를 장식하는 '힘있는' 작품으로 널리 회자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당대에 없었고, 여전히 불가사의한 의문으로 남아 있다.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 난해한 현대시와도 같은 중얼거림과 대기를 떠다니는 온갖 불협화음의 극단적인 부조화. 그리고 조화. 이 상호모순된 전제 사이에서 이 앨범은 그 독특한 위상을 확인시키고 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면, 주체할 수 없는 리비도와 넘치는 충동의 욕구를 단 한 번의 세션으로 완성시킨 그 마술과도 같은 반동적 해체 행위의 대담함에 있어서 이 앨범의 제작 과정은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프랭크 자파의 그것을 추월하고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우리는 그저 스튜디오로 들어갔고, 모든 곡들을 단 한 번에 연주했으며, 그(프랭크 자파)는 그것들을 그냥 녹음했고, 그런 다음 우리는 집으로 돌아갔다. 보컬 녹음에 이틀, 믹싱을 하는데 하루가 걸렸다. 결국 4일만에 앨범은 완성되었다"는 멤버들의 고백은 이 작품의 성격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단서인 셈이다. (박은석)
88. Blur
[Park life] (93)
백화점식 앨범이란 말이 있다. 이것도 조금, 저것도 조금. 장르란 장르는 모두 담고 있으며 록에서 댄스로 갑자기 발라드로 다재다능한 재능을 과시하긴 하나 분명한 자기색이 없는 어설픈 앨범. 블러의 「Park Life」앨범은 누가 봐도 명백한 백화점식이다. 댄스가 있고, 모던 록이 있으며, 심지어는 카바레까지 존재한다. 하지만, 「Park Life」가 해를 거듭할수록 더한 평가를 얻는 이유는 철처히 크로스오버적이고 이단적인 '90년대 음악 조류와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블러 스타일의 백화점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말이다. 앨범 전체를 일순간에 묶어놓는 일관성, 즉 블러 식으로 녹아내린 런던의 모던함이 숨쉬고 있다는 얘기다.
적어도 펑크 세대 이후 영국 록 음악의 역사는 기타를 전면에 내세우고 뭔가 불량스러우며 뒤틀린 심사를 가진 친구들이 주도해 나갔다. 블러는 이러한 고정관념에 돌을 던졌다. 충분히 인텔리적인 냄새를 풍기면서도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말쑥한 외모와 사회 전복이 없이도 공연장을 가득 메우는 일이 충분히 가능했다. 굳이 어렵거나 심각해야만 명반은 아니다. 위트, 유머, 동경, 장난. 이 속에서 끈질기게 숨쉬는 자기만의 목소리. 블러의 음악은 언제나 행복하고 업그레이드된 삶으로의 비젼이 있어 뵌다.
세기말 증후군? <End Of A Centvly>? 블러는 그 따위 것들에 전전긍긍해 하지 않는다. 브릿 팝, 세련된 매너, 블러「Park Life」. 지을 수 없는 '93년의 영국 기억들. (이종현)
89. Wu-tang clan
[Enter the Wu-tang] (93)
'93년은 여러모로 힙합이 변화를 맞던 시기였다. 갱스터 냅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도 한편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거셌고, 신인들의 급부상이 있었지만 수퍼 밴드들과 랩퍼들은 기나 긴 슬럼프와 연이은 해체를 거듭하고 있었다. 뉴욕 아트 힙 합 씬 역시 맥을 못추고 힙합의댄 도착화만이 심화되던 그 즈음 우-탱 클랜이라는 기이한 단체가 등장했다. 런 디엠씨, 퍼블 릭 에네미, N.W.A. 등 수많은 집단들이 힙 합 씬에 존재해 왔지만 우 탱 클랜만큼 파격적인 성격을 지닌 팀은 찾아볼 수 없었기에 데뷔 시절부터 별난 존재로 특별한 관심을 모았다. 각각의 솔로 활동을 펼치는 수 명의 랩퍼, 이들을 도와 상품 개발과 세력 확장에 열을 올리는 수백의 추종자 우-탱 클랜은 기존의 어느 잣대로도 정의 할 수 없는 모호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기본 골격부터 심상치 않았던 이들은 데뷔 앨범 「Enter The Wu-Tang」을 통해 새로운 시대의 힙 합 음악에 대한 경향과 나가야 할 이념을 제시했다. 가장 큰 특징은 샘플링의 다양성. 죠지 클링턴을 축으로 한 펑크(Funk)를 가장 중요한 샘플링의 요소로 생각하던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우-탱 클랜은 재즈에서 라운지에 이르는 다양하고 파격적인 실험을 통해 힙 합 표현의 영역을 확대시켜 나가는 데 성공했다. 게다가 게스트를 동반한 10여 명이 쏟아대는 래핑은 각각의 다른 라이밍을 구사하며 래퍼만의 고유한 독자성을 확립하는데 자극제의 역할을 했다. 최근 우-탱은 4년만에 두 번째 앨범을 차트 정상에 올려놓은 바 있으며, 흑인 음악 전문지 '바이브'의 4주년 기념호 표지를 장식하고, 대중 음악지 '스핀' 선정 현시대를 움직이는 40팀의 아티스트중 4위에 랭크된 바 있다. (이종현)
90. Asia
[Asia] (82)
'83년 마이클 잭슨의 「Thriller」가 달 표면을 걷는 듯한 춤과 B급 좀비 영화 같은 비디오로 전 세계를 집어 삼켜가고 있을 때, 실력으로 그와 대응할 수 있었던 유일한 대안이 바로 이 앨범 -아시아의 셀프 타이틀 데뷔작 「Asia」이다.
예스와 킹 크림슨, E.L.&P., 버글스 등, 당대의 진보 진영을 이끌었던 대형 밴드 출신의 네 멤버- 스티드 하우, 존 웨튼, 칼 팔머, 제프 다운스 - 가 조직한 이 용병 수퍼 그룹은 당초 예싱과는 달리 전향적인 대중지향성으로 그 정체를 드러냈다. 당시 주류 록계를 장악하고 있던 펌프 록/A.O.R. 성향이 앨범의 전체 인상을 결정짓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의 '대중적 실험'의 첫 포문이 되었던 <Heat Of The Moment>-그리고 <Only Time Will Tell>과 <Sole Survivor>로 이어지는 멜로디 지향의 수려한 팝 록 넘버들은 저니와 R.E.O. 스피드웨건, 스틱스 등 이 리스트에 포함되지 못한 동시대의 동료들을 대표하는 한국적 선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박은석)
91. beastie boys
[Licensed to Ⅲ](86)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311, 벡, 서태지, 김종서, 패닉, DJ DOC등이 공통적으로 영향받 은 아티스트는? 바로 이 비스티 보이스(이하 비스티스)다. 비스티스가 최초로 힙합을 시도한 백인들이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대중적으로 이들 이전에 알려진 백인 래퍼들은 없다. 그리고 이 앨범은 흑백을 통틀어 최초로 넘버원을 획득한 랩 앨범이다. 그러나 이런 차트 액션 등을 떠나 이 작품이 얼마나 팝 역사상 획기적이었나 하는 사실이 중요한 포인트일 것이다.
데뷔 앨범 이전에 이들은 하드 코어 펑크 밴드였었고 자신들의 홈 타운에서 조금 알려진 존재였었다. 그런 이 세 악동들이 갑자기 음악적 노선을 바꾼 이유는 무엇일까? 비스티스는 뉴욕 브루클린 출신이고 '80년대 초·중반에 10대 시절을 보냈다.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완벽히 힙 합 혁명의 세례를 받은 것이다. 알려져 있다시피 브루클린은 힙 합의 탄생지이자 성지(聖地)이다. 자신들 주위의 흑인 청소년들이 역동적인 리듬에 맞춰 쉴 새 없이 지껄이는 언어의 유희가 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쿨(Cool)했던 것이다.
새로운 시도를 선택한 이들은 운 좋게도 릭 루빈이라는 지지자를 만나 순풍에 돛을 달게 된다. 릭 루빈은 백인으로서 힙 합의 성공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한 뛰어난 프로듀서이자 레코드사 사장이었다. 당시 데프 잼이라는 새로운 레이블을 설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그는 퍼블릭 에너미, LL Cool J등을 스타덤에 올려놓는다. 아티스트와 프로듀서의 절묘한 조화가 이루어낸 이 앨범은 언제 들어도 그 다이내믹한 비트와 래핑 이 통쾌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하드 코어 시절의 비스티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메탈 리프가 곁들여져 있어 흥미롭다.
이 작품 이후 흑인이 아닌 수많은 청소년들이 힙 힙을 시작하게 됐고 랩 메탈이라는 새로운 장 르가 탄생하였다. 심지어 이 한반도에서도. (정원석)
92. LYNYRD SKYNYRD
[Pronunced Leh-nerd Skin-nerd] (73)
전설의 서던 록 밴드 레너드 스킨너드의 데뷔 앨범. 이 앨범으로 레너드 스키너드는 서던 록의 태두로 군림하고 있는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카리스마를 유일하게 뛰어넘은 최강자로 떠올랐다. <Tuesday's Gone>, <Simple Man>, <Free Bird>는 록의 명곡으로 남았고, 이 앨범은 서던 록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레너드 스키너드는 록 역사상 미국 남부의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해낸 그룹이다. 블루지하고 부 드러운 감성의 서던 록을 구사한 올맨 브라더스 밴드에 비해, 레너드 스키너드는 힘과 에너지로 가득한 서던 록을 만들어 냈다. 투박하지만 낙천적이고 또 호쾌한 남부의 기질을 록 격전지의 주 역으로 등장시켰던 것이다. 특히 이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트리플 기타 체제를 도입해 화려한 기타 사운드로 팬들을 매혹시켰다. 세 대의 기타가 자웅을 겨루듯 쏘아대는 격정적인 애드립의 <Free Bird>는 팬들을 흥분상태로 몰고 가기에 충분했다.
후의 서포트 밴드로 시작된 이들의 라이브 밴드로서의 세계적인 인기와 명성은, 그러나 오래 가지 못했다. '77년 10월 20일 비행기 사고로 보컬리스트 로니 밴 잰트와 기타리스트 스티브 게인즈, 백 보컬리스트 케시 게인즈 등 세 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멤버들이 중상을 당하는 참사를 맞았기 때문이다. 결국 이 대형 참사로 밴드는 해산되고, 이들의 분신인 로싱톤 콜린스 밴드외 38 스페셜은 그 영광을 재현해내지 못했다. 길지 않은 기간 '73년 9월-'77년 10월 활동했으나, 그들의 영광은 이제 비극적인 전설로 남았으며, 이 앨범은 레너드 스키너드의 진혼곡으로 팬들의 가슴에남았다. (박신천)
93. Guns & Roese
[Appetite for destruction] (87)
건스 앤 로지즈는 '80년대 중반 L.A.. 지역에서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났던 많은 하드 록/헤비 메탈 밴드 중의 하나로 '80대 후반과 '90대 초반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록 밴드로 성장한다. 이들의 음악적 특징은 롤링 스톤즈나 에어로스미스 같은 노장 그룹의 부기 스타일을 그 악명 높았던 펑크의 정신으로 연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완벽한 복고적인 경향은 그전까지 LA.를 지배했던 메탈과는 차별성을 갖게 되는데, 결국 이 건스 앤 로지즈의 세력이 팽창함에 따라 종전의 L.A. 메탈은 자취를 감추고 복고적인 성향을 갖는 다양한 록들이 '90대에 등장하게 되었으니 참으로 아이러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건스 앤 로지즈의 성공 비결은 간단하다. 우선, 등장과 함께 미디어에 무성한 화제를 쉴 새 없이 제공한 액슬 로즈라는 강력한 프론트맨이 있다는 것이다. 액슬 로즈는 부드럽게 중얼거리는 듯한 도컬부터 울부짖듯이 강력한 목소리까지 겸비하고 있어서 실력 면에서도 프론트맨의 자격이 충분하다. 게다가 슬래쉬와 이지 스트래들린 두 명의 기타 시스템이 롤링 스톤즈의 키스 리차드와 믹 타일러 콤비에 필적할 만큼 효과적인데, 넘버 원 히트에 빛나는 <Sweet Child O'Mine>을 들어보면 그 강점을 만끽할 수 있다.
'87년에 발표된 이들의 데뷔 앨범은 에어로스미스의 오프닝 밴드로서의 투어 활동과 MTV의 지원에 힘입어서 이듬해에 차트 정상에 오르고, 비로소 건스 앤 로지즈의 화려한 성공의 시기가 열리게 된다. (김우석)
94. David bowie
[Changes one bowie] (73)
해적판 시절 데이빗 보위의 앨범 가운데 우리 록 팬들에게 가장 친숙한 음반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그의 주요곡들을 망라한 매력적인 '컴필레이 션' 앨범이기 때문이었다. 당시에는 요즘처럼, 왕성하게 활동중인 아티스트가 히트곡 모음 앨범을 내는 일이 드물었다. 마침 그때는 보위가 <Fame>을 싱글 차트 1위에 올려 그에 대한 팬들의 호기심이 증가하고 있던 때였다. 당연히 본 작은 '보위의 개론서' 역할을 했다. 많은 록 팬들이 이 앨범으로 보위의 존재와 음악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 컴필레이션 앨범은 결코 상업성 제고를 겨냥한 상투적 베스트 모음집이 아니었다. 그는 전 에 자신에게 부착된 지기(Ziggy)의 이미지를 떨쳐내기 위한 '고별작'으로 이 앨범을 구상했다. 그의 특허 상표는 양성체(兩性體)의 지기 이미지를 낳은 이른바 글램(Glam)이었다. '시각적 효과' 를 중시하는 글램의 대전제는 무대였다. 하지만 보위는 잠정적으로 무대를 떠나고 싶었다. 온통 뇌리에는 '스튜디오 음악에 대한 관심'으로 가득했다. 그것은 곧 '자극' 에서 '뮤지션쉽과 예술성' 으로 방향을 옮겨가는 음악적 전향을 의미했다. 글램에 대한 '발전적 해체' 라고 할까 ?
후대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수록곡은 가히 '초호화판 <Space Oddity>, <Jean Genie>, <Changes>, <Golden Years>를 비롯, 전에 싱글로 소개되지 않은 게이 찬가 <John, I'm Only Dancing>도 실려 있다. 이 앨범 이후 보위는 전위적 아티스트 브라이언 이노와 손잡고 일련의 공작을 발표하게 된다. 하지만 보위의 팬들은 이 앨범의 수록곡을 보석처럼 더 애지중지 했다.(임진모)
95. Alice in chain
[Dirt] (95)
둠 메탈보다 더 가라 앉았고, '60년대 말엽의 플라워 무브먼트 만큼 사이키델릭하며, 스래쉬 메탈의 공격성을 갖춘 데다, 데스 메탈보다 더욱 심도있게 죽음을 논하고, 그 내재된 분노의 무게 는 측정할 수 없을 정도이지만 그들이 뽑아내는 멜로디는 누구보다도 수려하다. 바로 앨리스 인 제인스. 아직 세 장의 앨범 밖에 내놓지 않은 그들이지만 앞으로의 활동 여부에 상관없이 두 번째 앨범 「Dirt」는 길이 기억될 것이다. (윤병주)
96. Oasis
[(What's he story)Morning glory?] (95)
솔직히 100선에 2집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보다는 1집 「Definitely Maybe」가 선정됐으면 했다. 데뷔 앨범보다 나은 2집은 없다' 란 고정관념 때문이기도 하겠지 만, 2집은 이제껏 각종 지면을 통해 너무도 지겹게 울궈 먹어졌고, 나이트 클럽 블루스 타임에도 울려퍼질 정도의 범민족 인기 앨범이기에 그다지 새롭게 언급할 것도 없다.
'96년 여름, 영국 잡지만 펼치면 등장했던 오아시스와 블러의 '브릿팝 내전'. 오아시스가 이겼고 세계 시장에서 성공했다는 뻔한 레퍼토리가 이젠 팝 역사의 한 자리에 중요하게 기술되고 있는 실정이 돼버렸지만, 당시 여러 상황을 고려하자면 블러는 이미 오아시스의 스파링 파트너로 의미가 없었고, 결과 역시 뻔한 게임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매니아 노선을 걷기 시작한 블러의 4집과 대중 노선을 추구한 오아시스 2집은 비교 대상이 아니었단 얘기다.
오아시스는 비틀즈, 롤링 스톤즈, 폴 웰러 등의 선배들을 답습하며 음악성과 대중성이 교차할 수 있는 합일점에 다가서기 시작했고, 고전들의 카피와 흡수를 통해 영국석권과 미국 진출 시나리오에 완벽하게 다가설 수 있었다.
본작을 통해 쏟아진 싱글은 모두 4개. 이 중 <Don't Look Back In Anger>를 제외한 3개의 싱글이 차트 정상에 올랐으며, 싱글과는 상관없이 두 곡의 비디오 클립이 더 제작되었다. 최초의 넘버 원 싱글이 된 <Some Might Say>는 티 렉스의 흔적을, 미국 모던 록 차트를 강타한 <Wonder Wall>은 조지 해리슨의 이미지 카피를 보여주며 세대를 이어주는 밴드 오아시스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종현)
97. Red hot chili peppers
[Blood sugar sex magik] (91)
솔직히 이 앨범이 100장의 리스트에 낄 수 있으리라고는 상상치 못했었다. 물론 이 작품이 잘 만들어진 록 앨범이고 그들 경력의 베스트이며 (당연히) 그에 합당한 평가를 받을 만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아무래도 사적(史的) 의미에 있어서의 비중은 상당히 고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앨범은 제인스 어딕션의 「Ritual De Lo Habitual」과 너바나의 「Nevermind」사이에 샌드위치 마크를 당함으로써 얼터너티브 시대의 과도적 단계에서 어정쩡하게 물러설 수밖에 없었고, 페이스 노 모어와 수어사이덜 텐던시스 등 헤비메탈/하드 코어 계열과의 연관성으로 그 위상이 미묘한 상태였던 것이다.
게다가 밴드와 앨범의 지명도 확산이 그들 본래 색깔과는 거리가 있는 싱글 <Under The Bridge>의 깜짝 히트로부터 결정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은, 그들의 그 풍요로운 리듬과 농담 같은 개성이 여전히 대중성과 영향력 사이에서 안절부절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이 본고장과 다르다는 점에서라면 이 결과는 승복할 수밖에 없다. 얼터너티브 유입 초기의 그 강렬한 인상을 잊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 앨범은 여전히 프로토타입으로 존재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박은석)
98. The beatles
[Rovolver] (66)
지금 우리에게 친숙한 개념으로서의 록이 태동하여 활발히 진화를 이루던 시절, 진정 진보 인 다양한 시도와 방법의 도입으로 록을 더욱 풍성한 모습으로 일구어 놓은 아티스트 또는 그룹을 꼽는다면 비틀즈는 단연 그 선두에 설 자격을 갖춘다. 스트링과 브라스 등 고전 음악적 요소 차용이라든지 멜로트론, 테이프 역회전, 뒤틀린 사운드의 배치 등 스튜디오에서의 혁명적인 시도 등은 그들을 위대한 이름으로 만드는 데 한몫을 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이 이러한 '실험' 들을 아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그 방면의 전형(典型)을 제시했다는 사실이다. 이들이 「Rubber Soul」을 통해 아이돌 스타로서의 이미지를 벗어나기 시작했다면, 「Revolver」는 <Love Me Do>, <Yesterday>등으로 대표되는 초기에서 <A Day In 1 Life>, <Strawberry Fields Forever>, 그리고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Because>등 중후반기 명곡들로 넘어가는 발판 역할을 했다 할 수 있다 레너드 번스타인도 극찬했던 <Eleanor Rigby>의 선율적인 아름다움과 완벽한 스트링 오케스트레이션의 조화라든지 <Here, There And Everywhere>와 <For No One> 에서의 달콤함, <Norwegian Wood>의 연장선상에서 이후 <Within You Without You>로 이어 지는 라가(Raga) 록 <Love You To>, 존 레논 의 환각적인 성향이 그대로 드러나는, 이후 사 이키델릭 시대의 포문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She Said, She Sald>, <Tomorrow Never Knowsr>등 앺으로의 커다란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된 앨범이다 클라우스 부어만의 탁월한 킨더 아트워크 또 한 비틀즈의 모든 앨범들 중 최상의 자리를 차지 할 만하다. (김경진)
99. Elvis Costello
[This year's model] (69)
'77년의 런던에는 섹스 피스톨스나 클래쉬와 같은 과격파 정치적 밴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런던의 펑크 씬에는 실로 다양한 스타일이 공존했고 그들 나름대로 저마다의 개성을 갖고 있었.
미디어의 편의에 의해 기존의 팝 음악과 다른 새로운 음악을 하는 뮤지션들은 도매급으로 펑 크, 뉴 웨이드로 불렸고 그 레테르는 지금도 계속 따라 다닌다. 엘비스 코스텔로는 데뷔 당시 분명히 성난 젊은이(angry young man)의 정서를 지니고 있었지만 단순히 펑크, 뉴 웨이드로 불리기에는 억울한 점이 많은 뮤지션이다. 오히려 그를 더 잘 표현한 용어는 싱어송라이터일 것이다. 그의 음악 여정을 살펴보면 너무나 다양한 음악적 시도에 감탄하게 된다. 초창기의 록큰롤 스타일, '80년대 중반의 소울과 컨트리 탐구, '90년대의 클래식 섭렵까지 그가 관심을 갖지 않은 분야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영·미 언론은 그를 현존 최고의 뮤지션 중 한 사람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상대 적으로 국내에서는 한 번도 제대로 소개되긴 못 했고 그긴 이름 정도나 알려진 뮤지션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제일 두드러진 것이 미국 싱글 차트 위주의 국내 팝 풍토 와 가사의 이해가 안된다는 점이다. 엘비스 코스텔로는 데뷔 당시부터 냉소적이고 지적인 가사로 한 몫했던 뮤지션 이다. 한마디로 문학적인(Literate) 아티스트다. 이번 100선 앨범에 그의 작품이 3장 이나 포함되어 있어 고무적이며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를 바란다. 이 작품 「This Year's Model」은 '78년 발표된 그의 2집으로서 오른팔과도 같은 백밴드 어트렉션스와 함께 한 첫 작품이다. 초창기 그의 특징인 간결하고 경쾌한 록 비트와 조롱하는 듯한 창법에 실린 페이소스 넘지는 가사가 빛난디 <Pump It Up>과 <(I Don't Want To Go To) Chelsea>등이 대표곡이고 그의 전 작품 중에서도 가장 록적인 음반이다. (정원석)
100. The Wallflowers
[bringing down the horse] (96)
여기 우리가 뽑은 100장의 록 앨범 리스트가 월플라워스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은 사뭇 의미심장하다. 아메리칸 록의 자존심이라 일컬어지는 일련의 비슷한 성향의 뮤지션들 - 브루스 스프링 스틴, 존 멜렌캠프, 톰 페티, 밥 시거- 에 대한 박정한 평가가 인지상정이었던 시대가 바로 엊그제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 아닌가?
물론 이 앨범은 장르별 지분을 할당받은 낙하산이 아니다. 이 앨범에는 시대를 관통하는 강경 한 메시지의 나열도 없고, 대중들을 경악케 할 만한 사운드의 혁명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작은 여기 이 자리에 당당하게 설 만한 자격이 충분하다. 여기에는 청자를 사로잡는 그 무언가가 있다. 선율의 안팎을 둘러싸고 있는 그 긍정적이고 미묘한 에너지는 구체적 언급이 불가능 하고, '록의 위대한 작품들은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기운에 의해 기적저럼 완성된다' 는 추상적인 논리의 취약성은 어느새 진리가 된다. 이 밴드의 리더가 밥 딜런의 아들이라는 사실은 몰라도 좋다. 고집스러운 표정을 제외하고 제 이콥 딜런이 그의 아버지로부터 수혜를 받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오히려 그는 아버지가 이루지 못했던 대중친화적(상업성 지향적이라는 말과는 엄연히 다른) 편안함을 갖춤으로써 밥 딜런이라는 거대한 그림자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고 있다.(박은석)
[Achtung baby] (91)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록 밴드? 그렇지만 U2 는 상찬과 경멸을 동시에 닫은 밴드였다 한편으로 그들은 경건함과 정열로 '록이 죽었던' '80년대 최고의 록 레코드로 손꼽히는 「Joshua Tree」(87)이후 하나의 팝 밴드가 아니라 하나의 문화 현상이 되었다. 이는 동시에 그들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엇갈리는 계기이기도 했다 스타일과 형식은 메시지와 내용을 각각 압도해 버렸다. 아이러니와 캠프가 난무했던 '80년대 팝의 상황에 서 아이러니 없이 순수함을 드러내려는 그들의 전략은 한계가 뚜렷해 보였다. 록의 뿌리가 있다고 믿었던 「Rattle And Hum」(88)에서의 여행 은 사태를 악화시켰다. 몇년뒤「Achtung Baby」는 이들의 진지하고 신실한 믿음이 유머, 위트, 아이러니 등과 절묘하게 어우러짐을 보여 주었다. <One>의 가사에서 보듯 이들의 감정은 여전히 강렬하고 진득하다.
그렇지만 <Myterious Way>나 <Even Better Than The Real Thing>같이 '맨체스터 사운드' 로부터 영향받은 듯한 댄스 그루브는 이 들이 새로운 표현방식을 획득했음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대형 경기장 공연에서 U2는 아방가르드 예술가의 지위도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1997년 현재, 불확실하게 "가자 가자 디스코텍으로... LOVE"라고 외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에 속한다.(신현준)
77. Pink floyd
[Wish you were here] (75)
1967년 핑크 플로이드가 데뷔 앨범을 발표할 당시만 하더라도 그룹의 기타리스트는 데이빗 길모어가 아니었다. 시드 배릿이라는 오리지널 멤더는 팀의 장단을 주도한 인물이었으나, 첫 앨 범의 성공 후 심각한 신경쇠약에 빠져서 그룹을 떠나야만 했다. 이후 데이빗 길모어가 가입해서 초기의 사이키델릭 사운드를 조금 더 폭넓게 확장시켜 나가면서 로저 워터스가 노랫말을 쓰고 길모어가 작곡을 하는 분업체제를 이루어 「The Dark Side Of The Moon」 같은 성공작을 내기에 이르른다.
그 다음 작품이 바로 원년 멤버인 시드 배릿에게 바친 본작 「Wish You Were Here」이다. 여기에는 총 9부작에 이르는 <Shine On You Crazy Diamond>와 로저 워터스가 쓴 가장 애절한 노랫말을 담은 타이틀 트랙 <Wish You Were Here>가 담겨 있는데, 핑크 플로이드가 발표한 가장 감성적인 앨범이라고 부를 만하다.
반면에 풍자적인 내용을 담은 <Welcome To Machine>과 <Have A Cigar>는 전작에서 보여주었던 효과음의 사용을 계속해서 시도하고 있어서 그들의 작픔 경향의 연속성을 느낄 수 있다. 비록 핑크 플로이드의 최고의 걸작은 아니라 하더라도, 그들의 모든 앨범들 중에서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작품임에는 틀림없다. 누군가가 그립거나 우울한 날에는 이 앨범의 노랫말을 펼쳐놓고 음악을 들어보면 독특한 맛이 느껴진다. 가사의 양은 매우 적다. 앨범 러닝타임의 70%이상이 연주니까...(김우석)
78. Jackson browne
[Running on empty] (78)
이 앨범이 록 앨범 100선에 선정된 이유는 명확하다. 바로 사람의 감성을 흔드는 레퍼토리의
모음집이기 때문이다. 스튜디오와 라이브라는 특이한 구성의 이 음반은 변함없이 컨트리 록의 여 정을 걸어온 잭슨 브라운의 예술적 극점의 구현 판이요, 집대성판이라 할 만하다 로드 스튜어트, 블론디, 도나 서머, 심지어 롤링 스톤즈마저 디스코의 거센 광풍에 편승하여, 톡톡히 재미보고 있을 무렵, 음악계에서 툭 던져진 이 한 장의 음반은 차트의 상위권을 뒤흔들었다. 온통 댄스판이었던 음악계에 이 음반은 사람들의 서정성에 호소했고, 그것은 주효했다.
저항적 노랫말과 인생의 본질 문제에 깊이 천착해 온 그는 이 앨범에서도 자신이 동승할 수 없는 삶과 그 어두운 단면들을 그리고 있으며 <Running On Empty>, <Shaky Town>, <The Load>의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인생의 무상함과 허무의 색채는 전작들보다 한결 짙어졌다. 이같은 회색빛 우울은 많은 부분, 아내의 자살이라는 중격에서 기인하고 있다. 그리고 데뷔 당시의 저항적 메시지에서 인생 문제로 귀착하기 시작한 그의 뚜렷한 방향 전환 역시, 이 앨범에서 한결 그 농도가 짙어졌다. 아울러 이 앨범의 엄청난 상업적 성공으로 말미암아 '70년대 지성인들의 우상이었던 그는 확고한 대중 가수로서의 지위도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부자연스럽고 산만한 구성은 흠으로 남는다 누가 뭐라해도 국내에서 만큼은 '확고한 명반' 그리고 그 지위는 바로 이 곡, <The load-Out / Stay>때문이다 이 앨범은 그의 5번째 작품이다. (박신천)
79. Whitesnake
[1987] (87)
딥 퍼플의 해산 후 근 10년간 화이트스네이크를 이끌어 오던 데이빗 커버데일과 타이거스 오팬탱, 신 리지를 거치며 실력을 인정받은 존 사이크스. 한창 물이 오른 두 브리티쉬 록의 거물이 만나 탄생한 수퍼 베이비가 바로 이 앨범이다. 물론 이건 화이트스네이크가 아니라는 골수 팬들의 말도 맞다. 그간 커버데일이 미키 무디, 버니 마스덴과 함께 만들어 내던 블루지한 사운드와는 거리가 있는 게 사실이다. 그리고 그건 데이빗 커버데일 자신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1987」을 만들어 낸 밴드의 이름이 화이트스네이크이건 아니건 간에 이 앨범이 대 단하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다. 자신의 곡을 다시 리메이크한 <Here I Go Again>과 존 사이크스 특유의 도회적 편곡이 돋보이는 <Is This love>는 상업적이라 욕먹기에 너무나도 완벽하고, 역시 전작(前作)의 수록곡을 새로 연주한 <Clying In The Rain>에서의 커버데일의 보컬과 사이크스의 기타는 만국공통어라는 에스페란 토로도 형용이 불가능할 듯. 하지만 앨범의 정점이자 밴드 결성 이래 죄대의 명곡으로 그 누구도 믿어 의심치 않을 <Still Of IThe Night>만으로도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없다.(윤병준)
80. Public Enemy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96)
이 앨범은 음악으로 본 '80년대 미국 흑인들의 농축된 의식' 이다 하지만 정치 지도자 제시 잭슨이나 운동권의 총수 루이스 패러칸의 설교 못지 않게 위력적이고 또 선동적이다. 과격하다 못해 (시체말로) 살벌하다.
'80년대 흑인 음악은 말할 것도 없이 랩. 전보다 현실이 더욱 각박해진 도시의 게토 흑인들이 지껄이며 분노를 터뜨리는 음악이다. 공적(公敵; Public Enemy)이라면 이러한 성격에 주목해서 거기에다 드높은 흑인의식을 담는 것은 당연지사 아닌가. 공적의 대표 척 디(Chuck D)의 일성. "난 마빈 게이의 명반 「What's Goin' On」을 힙 합으로 해석한 것을 만들고 싶었다" 프로듀서 행크 쇼클리의 생각도 같다. "사람들은 랩을 그냥 소음(지껄임)으로만 여긴다. 그걸 노이즈라고 생각한다면, 소음을 제대로 보여주자 그러나 동시에 뭔가 생각할 수 있는 꺼리를 던져주자!"
뭔가 생각하지 않으면 이 앨범은 느낌이 없다. 음악팬들은 그러나 여기에 수록된 <Don't Believe The Hype>, <Rebel Without A Pause>, <Bring The Noise> 그리고 <Party For Your Right To Fight>을 들으면 즉각 이 그룹이 잔뜩 화가 나 칼을 갈고 있다는 것을 안다. "흑인들이여 깨우치자! 모이자! 떠들자! 그리고 나가 싸우자!"고 부추기고 있다는 것을 안다. 이 건 갱스타 아닌가.
이후 L.A.서 번성한 갱스타 랩의 '롤 모델' 이 된 앨범이다. 형식은 메탈 랩. 그래서도 록계가 높게 평가한다. 소란의 정당성 선언, 투쟁의식 고취, 백인 지배사회와의 일전 불사 태세가 메아리 친다. 정말 이 앨범 이후로 많은 흑인들이 무서워졌다. (임진모)
81. Smashing Pumpkins
[Gish] (91)
스매싱 펌킨스의 어떤 앨범이 가장 훌륭한가는 앞으로 10년쯤 뒤에나 논의될 일이다. 이들이 지금까지 발표한 모든 작품은 전부 '90년대를 대표할 명작이고 고유한 오리지널리티를 갖고 있다.
이 앨범 100선에서는 「Siamese Dream」과 「Mellon Collie And The Infinite Sadness」를 제치고 대중적으로 가장 덜 알려진 그들의 데뷔작이 선정되었다. 이 결과는 자못 의외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평론가들이 이 앨범의 작품성을 높이 평가하고 선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Gish」가 다른 작품들과 명확히 구분되는 특징은 가장 인디적이며(사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는 마이너 배급망인 캐롤라인 레이블에서 발매 되었다) 순수하다는 것이다. 또 가장 사이키델릭 하다.
「Siamese Dream」과 「Meilon Collie And The Infinite Sadness」는 상대적으로 다분히 메탈적이고 아트 록 지향적이다. 리더인 빌리 코건이 어느 시상식에서 베스트 얼터너티브 상을 수상하면서 한 말, "우리가 아직도 얼터너티브라니 믿어지지 않는다"라고 한 그 얘기가 바로 현재의 그들의 위치를 잘 표현하고 있다 그들은 이미 록계에서 공룡과 같은 거대 밴드인 것이고 그만큼 얻은 것과 잃은 것도 많다. 「Gish」는 바로 지금의 그들이 잃어버린 것을 아쉬워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선정된 것이다. 격렬함과 우아함, 폭력성과 고요함, 광기와 냉철한 지성 등 모든 상반된 요소들이 완벽하게 어우러져 있다. 또 하나, 이 앨범의 특기할 점은 프로듀서 버치 빅의 역할이다. 현재 가비지를 이끌고 있는 그는 '90년대 초 얼터너티브 혁명의 가장 혁혁한 공로자일 것이다(이 100선에서 1위를 한 「Nevermind」도 그의 손에 의한 것임). 사운드의 완급 조절에 탁월한 그의 실력이 여기서도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빌리 코건과 부치 빅, 두 천재의 만남이 현재의 스매싱 텀킨스를 있게 했고 이 작품은 굳건한 초석이었다. 음악 애호가들이 격언처럼 하는 말 중에 이런 얘기가 있다. "어떤 아티스트든 데뷔 앨범을 구입하면 실패하지 않는다" 이 말은 스매싱 펌킨스에게도 100%적용된다. (정원석)
82. Peter Gabriel
[Peter Gabriel 3] (80)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는 라이브 앨범 「Seconds Out」을 비롯하여 여러 장의 컨셉 트 앨범으로 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아왔다. 제네시스는 두 번 그들의 음악을 확연하게 변모시 켰는데, 첫 번째의 변화는 첫 번째 앨범에서 두 번째 앨범인 「Trespass」사이. 지금에 와서는 아
주 입수하기가 힘든 제네시스의 데뷔 앨범은 듣고 있으면 웃음을 참느라 눈물이 나오는 최악의 앨범이었다. 2,3분대의 짧은 곡들은 모두 만들다가 만 것 같은 팝송으로 가득 채워졌는데, 두 번 째 앨범에서 보인 변화는 '록계의 7대 수수께끼' 에 집어넣을 수 있는 대사건이었다.
피터 가브리엘이 탈퇴하고 나서 이 그룹의 음악은 또 한 번 달라졌다. 그 변화에 대해서는 찬반양론이 거론될 수 있으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제네시스는 피터 가브리엘의 밴드였다는 사실이다.
탈퇴 후 그는 두 장의 같은 이름의 앨범 「Peter Gabriel」을 발표하였는데, 둘 다 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여기 선정된 작품은 나중에 발표된 것으로 피터 가브리엘의 통산 세 번째 작품이며, <Biko>는 그 가장 대표적인 곡이다. (신용현)
83. Madonna
[Immaculate collection] (90)
아마도 이 앨범은 여기 100장의 리스트를 통틀어 가장 이질적이며 예상치 못했던 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앨범은 이 리스트가 건져낸 가장 돋보이는 개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록 음악의 엄숙주의로부터 탈피함은 물론이고 유교적 성차별의 관습에도 쐐기를 박음으로써 록이, 록 매니아들이 지향해야 할 카운터 파트로서의 역할에 비로소 연대동참을 선언하는 시금석... 이라고까지 장황하게 떠들지 않더라도, 이 앨범이 국내 음악팬들의 심각한 탐미주의 음악 듣기습관에 통렬한 카운터 펀치를 날린 작품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촌스러운 신서사이저 음향의 단순반복 패턴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역사상 가장 관능적인 팝 스타의 매력을 확인하는데 조금의 모자람도 없으며, '비범한 여인(She' s So Unusual; 신디 로퍼. 아시다시피)을 능가한 저력은 바로 그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처녀처럼(Lilke A Virgin)' 등장한 자의식 강한 '럭키 스타(Lucky Star)'가, '당신 자신을 표현(Express Yourself)'하고 '소중히(Cherisf)'하며, '자신의 사랑을 정당화(Justify My love)'해가는 10년 간의 과정을 보여주는 생생한 다큐멘터리이며, 에비타를 꿈꾸는 명예욕의 노예가 되기 이전의 순수했던 '창부' 로서의 마돈나를 추억하게 하는 각진 앤솔러지. (박은석)
84. Megadeth
[Peace sells...But who's buying?] (86)
메탈리카와 더불어 스래쉬의 양대 산맥으로 군림하던, 그리고 지금까지도(전과는 상이한 변 질된 사운드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향력을 잃지 않고 있는 메가데스는 여타 스래쉬 댄 드들과는 다른 음악적 노선을 걸어왔다.
각각의 멤더들이 기본적으로 갖춘 스피드와 파괴력에 있어서의 강력한 파워 외에 이들의 음악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코드와 곡 진행의 복잡성과 난해함이다. 그래서 단 한 번만 들어도 뛰어난 작곡 실력이 그대로 드러나는 메탈리카의 음악과는 달리 메가데스 사운드의 참 맛을 알 기 위해서는 여러 번을 반복해서 들어야 한다. 물 흐르듯 자연스레 진행되지 않는 수많은 변박 악절과 다양한 리프야말로 이들의 음악을 들을 때 전해지는 쾌감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아이언 메이든의 에디와 함께 늘 '건전한'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빅 래틀헤드의 모습은 국내에서 정식으로 발매될 수 없었던 본작에 목말라 하던 이들에게는 너무도 멋진 상징이었다.
데뷔작에서의 다소 산만하던 느낌은 사라지고 스래쉬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본작에 이 르러 밴드의 본령(本領)은 여지없이 나타난다. 속사포처럼 쏘아대는 가 새뮤엘슨의 더블 레이스 드럼과 데이브 머스테인, 크리스 폴랜드의 트윈 기타 라인이 이루어 내는 사운드는 분명 기존의 귀에 익숙한 소리와는 다른 것이었다.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이들만의 뛰어난 역량이 담긴 스래쉬의 걸작이다. (김경진)
85. Frank zappa and the mothers of invention
[We're only in for the money] (68)
본 앨범은 사이키델릭 시대의비틀즈 명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67) 의 패러디 즉, 풍자적 조롱이다.(참고로 국내에 달매된 CD는 '67년 발매됐던 본작 「We' re Only In It For The Money」에 그 이듬해인 '68년 솔로 앨범으로 발매되었던 「Lumpy Gravy」의 합돈인 딜럭스 영태다.)
이 앨범 역시 프랭크 자파 특유의 전위적이고 아방가르드적인 색채로 가득차 있다. 사이키델릭 의 매괘한 소음이 난무하는 <Are You Hung Up>, "난 낙오자(Drop Out)로 남을거야"라는 신랄한 독설의 <Who Need The Peace Corps>, "엄마, 사람들이 그러는데요, 군인들이 소년들을 총으로 쐈대요. 엄마, 당신의 아이들이 군인들의 총을 맞고 공원에서 죽어가고 있어요." 라는 내용의 - 반전시위 대학생들에 총격을 가해 사망자들이 속출한 켄트 주립대 사태에 대한 분노를 팝 아트의 전위적인 양식으로 그리고 있는 <Mom a Dad>등, 위트와 광기로 번뜩이는 1, 2분대 짧은 트랙들이 메들리로 계속 이어진다. 그러나 이 앨범에 담겨있는 곡들은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이며, <Concentration Moon>같은 곡은 비틀즈의 그 뛰어난 악곡을 무색케 할 정도다.
재즈에 클래식, 하드 록 그리고 전위적인 팝 아트에 이르기까지, 프랭크 자파의 음악에 대한 탐식은 끝이 없었다. 아방가르드 록의 대부로서 프랭크 자파는 사망하기 전까지 그 실험의 끈을 놓지 않았다.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걸작이되, 사회성/정치성의 부재라는 치명적 약점을 갖고 있다. 프랭크 자파의 본 앨범은 바로 이러한 비틀즈의 '시대정신의 부재 비틀어보기' 이며,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가 몰고 온 열풍에 상대적 으로 소외됐던 동시대 천재 뮤지션의 답례품인 셈이다. (박신천)
86. Elvis Costello
[Armed fores] (79)
너도 나도 죽기살기로 으르렁 거려야만 했던 '70년대 말의 영국 록 음악 씬. 못사는 친구들의 심정을 대변하는 펑크 밴드들이 클럽가를 수놓는 가운데 고시생 이미지의 한 인물이 기타를 들고 홀연히 등장했고 그는 통열한 비판과 자기주관을 앞세우며 일순간에 펑크 륵의 스타로 떠올 랐다.
당시 매스컴과 평론가는 갖가지 미사여구로 그를 떠받쳤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그와 거리가 멀었고,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그에 대한 찬사와 인기는 언제나 반비례할 뿐이다. 엘비스 코스텔로. 그는 영원한 비주류의 이름이다. 좋은 음반의 기준이 되는 것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많이 팔려서, 독설을 담고 있어서, 그것도 아니면 당시 사회상을 대변해서. 엘비스 코스텔로의 3번째 앨범인 「Armed Forces」는 펑크 로커답지 않다는 이유 때문에 오히려 각광을 닫게 된 케이스다. 펑크, 뉴 웨이브 시대가 낳은 죄고의 싱어송라이터 엘비스 코스텔로는 3집을 통해 익숙한 코드 진행과 설득력있는 멜로디를 구사하며 사회의 독소라는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음악적인 변신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소위 '코끼리 앨범'으로 알려진 본작에는 그의 최강의 넘버들로 평가되는 <Accidents Will Happen>, <Oliver's Army>를 시작으로 '80년대 신경향을 예언한 <Moods For Moderns>. 평화의 예찬과 전쟁의 경고를 동시에 담은 <Two Little Hitlers>등 다양한 주제를 선도이고 있다.
단편적인 시각의 펑크 로커에서 질 높아진 문제 제기를 끄집어내는 문화 혁명자로 성숙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초기 4장의 작품 중 가장 낮은 평가에 머물렀던 본작은 재 발매를 통해 엘비스 코스텔로 최상의 아이템으로 둔갑하게 된다 (라이브를 포함한 8곡의 진귀한 보너스 트랙 수록).(이종현)
87. Captain beefheart & his magic band
[Trout mask replica] (69)
이것은 예정된 컬트였다. 그리고 동시에, 이것은 희대의 해프닝이었으며, 모순의 극치를 이 끌어낸 마법이었다.
캡틴 비프하트와 웃기는 이름 - 주트 혼 롤로, 안텐네 지미 세멘스, 더 마스카라 스네이크, 로 케트 모튼, 드럼보 - 을 가진 그의 멀티 인스트루 멘틀리스트 (실제로 악기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장담할 수 없는) 친구들은, 프랭크 자파라는 당대의 기인을 프로듀서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송어' 들을 복제해냈다.
차트 근처에는 가보지도 못한 이 앨범이 록 역사를 장식하는 '힘있는' 작품으로 널리 회자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당대에 없었고, 여전히 불가사의한 의문으로 남아 있다.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 난해한 현대시와도 같은 중얼거림과 대기를 떠다니는 온갖 불협화음의 극단적인 부조화. 그리고 조화. 이 상호모순된 전제 사이에서 이 앨범은 그 독특한 위상을 확인시키고 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면, 주체할 수 없는 리비도와 넘치는 충동의 욕구를 단 한 번의 세션으로 완성시킨 그 마술과도 같은 반동적 해체 행위의 대담함에 있어서 이 앨범의 제작 과정은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프랭크 자파의 그것을 추월하고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우리는 그저 스튜디오로 들어갔고, 모든 곡들을 단 한 번에 연주했으며, 그(프랭크 자파)는 그것들을 그냥 녹음했고, 그런 다음 우리는 집으로 돌아갔다. 보컬 녹음에 이틀, 믹싱을 하는데 하루가 걸렸다. 결국 4일만에 앨범은 완성되었다"는 멤버들의 고백은 이 작품의 성격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단서인 셈이다. (박은석)
88. Blur
[Park life] (93)
백화점식 앨범이란 말이 있다. 이것도 조금, 저것도 조금. 장르란 장르는 모두 담고 있으며 록에서 댄스로 갑자기 발라드로 다재다능한 재능을 과시하긴 하나 분명한 자기색이 없는 어설픈 앨범. 블러의 「Park Life」앨범은 누가 봐도 명백한 백화점식이다. 댄스가 있고, 모던 록이 있으며, 심지어는 카바레까지 존재한다. 하지만, 「Park Life」가 해를 거듭할수록 더한 평가를 얻는 이유는 철처히 크로스오버적이고 이단적인 '90년대 음악 조류와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블러 스타일의 백화점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말이다. 앨범 전체를 일순간에 묶어놓는 일관성, 즉 블러 식으로 녹아내린 런던의 모던함이 숨쉬고 있다는 얘기다.
적어도 펑크 세대 이후 영국 록 음악의 역사는 기타를 전면에 내세우고 뭔가 불량스러우며 뒤틀린 심사를 가진 친구들이 주도해 나갔다. 블러는 이러한 고정관념에 돌을 던졌다. 충분히 인텔리적인 냄새를 풍기면서도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말쑥한 외모와 사회 전복이 없이도 공연장을 가득 메우는 일이 충분히 가능했다. 굳이 어렵거나 심각해야만 명반은 아니다. 위트, 유머, 동경, 장난. 이 속에서 끈질기게 숨쉬는 자기만의 목소리. 블러의 음악은 언제나 행복하고 업그레이드된 삶으로의 비젼이 있어 뵌다.
세기말 증후군? <End Of A Centvly>? 블러는 그 따위 것들에 전전긍긍해 하지 않는다. 브릿 팝, 세련된 매너, 블러「Park Life」. 지을 수 없는 '93년의 영국 기억들. (이종현)
89. Wu-tang clan
[Enter the Wu-tang] (93)
'93년은 여러모로 힙합이 변화를 맞던 시기였다. 갱스터 냅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도 한편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거셌고, 신인들의 급부상이 있었지만 수퍼 밴드들과 랩퍼들은 기나 긴 슬럼프와 연이은 해체를 거듭하고 있었다. 뉴욕 아트 힙 합 씬 역시 맥을 못추고 힙합의댄 도착화만이 심화되던 그 즈음 우-탱 클랜이라는 기이한 단체가 등장했다. 런 디엠씨, 퍼블 릭 에네미, N.W.A. 등 수많은 집단들이 힙 합 씬에 존재해 왔지만 우 탱 클랜만큼 파격적인 성격을 지닌 팀은 찾아볼 수 없었기에 데뷔 시절부터 별난 존재로 특별한 관심을 모았다. 각각의 솔로 활동을 펼치는 수 명의 랩퍼, 이들을 도와 상품 개발과 세력 확장에 열을 올리는 수백의 추종자 우-탱 클랜은 기존의 어느 잣대로도 정의 할 수 없는 모호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기본 골격부터 심상치 않았던 이들은 데뷔 앨범 「Enter The Wu-Tang」을 통해 새로운 시대의 힙 합 음악에 대한 경향과 나가야 할 이념을 제시했다. 가장 큰 특징은 샘플링의 다양성. 죠지 클링턴을 축으로 한 펑크(Funk)를 가장 중요한 샘플링의 요소로 생각하던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우-탱 클랜은 재즈에서 라운지에 이르는 다양하고 파격적인 실험을 통해 힙 합 표현의 영역을 확대시켜 나가는 데 성공했다. 게다가 게스트를 동반한 10여 명이 쏟아대는 래핑은 각각의 다른 라이밍을 구사하며 래퍼만의 고유한 독자성을 확립하는데 자극제의 역할을 했다. 최근 우-탱은 4년만에 두 번째 앨범을 차트 정상에 올려놓은 바 있으며, 흑인 음악 전문지 '바이브'의 4주년 기념호 표지를 장식하고, 대중 음악지 '스핀' 선정 현시대를 움직이는 40팀의 아티스트중 4위에 랭크된 바 있다. (이종현)
90. Asia
[Asia] (82)
'83년 마이클 잭슨의 「Thriller」가 달 표면을 걷는 듯한 춤과 B급 좀비 영화 같은 비디오로 전 세계를 집어 삼켜가고 있을 때, 실력으로 그와 대응할 수 있었던 유일한 대안이 바로 이 앨범 -아시아의 셀프 타이틀 데뷔작 「Asia」이다.
예스와 킹 크림슨, E.L.&P., 버글스 등, 당대의 진보 진영을 이끌었던 대형 밴드 출신의 네 멤버- 스티드 하우, 존 웨튼, 칼 팔머, 제프 다운스 - 가 조직한 이 용병 수퍼 그룹은 당초 예싱과는 달리 전향적인 대중지향성으로 그 정체를 드러냈다. 당시 주류 록계를 장악하고 있던 펌프 록/A.O.R. 성향이 앨범의 전체 인상을 결정짓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의 '대중적 실험'의 첫 포문이 되었던 <Heat Of The Moment>-그리고 <Only Time Will Tell>과 <Sole Survivor>로 이어지는 멜로디 지향의 수려한 팝 록 넘버들은 저니와 R.E.O. 스피드웨건, 스틱스 등 이 리스트에 포함되지 못한 동시대의 동료들을 대표하는 한국적 선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박은석)
91. beastie boys
[Licensed to Ⅲ](86)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311, 벡, 서태지, 김종서, 패닉, DJ DOC등이 공통적으로 영향받 은 아티스트는? 바로 이 비스티 보이스(이하 비스티스)다. 비스티스가 최초로 힙합을 시도한 백인들이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대중적으로 이들 이전에 알려진 백인 래퍼들은 없다. 그리고 이 앨범은 흑백을 통틀어 최초로 넘버원을 획득한 랩 앨범이다. 그러나 이런 차트 액션 등을 떠나 이 작품이 얼마나 팝 역사상 획기적이었나 하는 사실이 중요한 포인트일 것이다.
데뷔 앨범 이전에 이들은 하드 코어 펑크 밴드였었고 자신들의 홈 타운에서 조금 알려진 존재였었다. 그런 이 세 악동들이 갑자기 음악적 노선을 바꾼 이유는 무엇일까? 비스티스는 뉴욕 브루클린 출신이고 '80년대 초·중반에 10대 시절을 보냈다.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완벽히 힙 합 혁명의 세례를 받은 것이다. 알려져 있다시피 브루클린은 힙 합의 탄생지이자 성지(聖地)이다. 자신들 주위의 흑인 청소년들이 역동적인 리듬에 맞춰 쉴 새 없이 지껄이는 언어의 유희가 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쿨(Cool)했던 것이다.
새로운 시도를 선택한 이들은 운 좋게도 릭 루빈이라는 지지자를 만나 순풍에 돛을 달게 된다. 릭 루빈은 백인으로서 힙 합의 성공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한 뛰어난 프로듀서이자 레코드사 사장이었다. 당시 데프 잼이라는 새로운 레이블을 설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그는 퍼블릭 에너미, LL Cool J등을 스타덤에 올려놓는다. 아티스트와 프로듀서의 절묘한 조화가 이루어낸 이 앨범은 언제 들어도 그 다이내믹한 비트와 래핑 이 통쾌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하드 코어 시절의 비스티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메탈 리프가 곁들여져 있어 흥미롭다.
이 작품 이후 흑인이 아닌 수많은 청소년들이 힙 힙을 시작하게 됐고 랩 메탈이라는 새로운 장 르가 탄생하였다. 심지어 이 한반도에서도. (정원석)
92. LYNYRD SKYNYRD
[Pronunced Leh-nerd Skin-nerd] (73)
전설의 서던 록 밴드 레너드 스킨너드의 데뷔 앨범. 이 앨범으로 레너드 스키너드는 서던 록의 태두로 군림하고 있는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카리스마를 유일하게 뛰어넘은 최강자로 떠올랐다. <Tuesday's Gone>, <Simple Man>, <Free Bird>는 록의 명곡으로 남았고, 이 앨범은 서던 록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레너드 스키너드는 록 역사상 미국 남부의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해낸 그룹이다. 블루지하고 부 드러운 감성의 서던 록을 구사한 올맨 브라더스 밴드에 비해, 레너드 스키너드는 힘과 에너지로 가득한 서던 록을 만들어 냈다. 투박하지만 낙천적이고 또 호쾌한 남부의 기질을 록 격전지의 주 역으로 등장시켰던 것이다. 특히 이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트리플 기타 체제를 도입해 화려한 기타 사운드로 팬들을 매혹시켰다. 세 대의 기타가 자웅을 겨루듯 쏘아대는 격정적인 애드립의 <Free Bird>는 팬들을 흥분상태로 몰고 가기에 충분했다.
후의 서포트 밴드로 시작된 이들의 라이브 밴드로서의 세계적인 인기와 명성은, 그러나 오래 가지 못했다. '77년 10월 20일 비행기 사고로 보컬리스트 로니 밴 잰트와 기타리스트 스티브 게인즈, 백 보컬리스트 케시 게인즈 등 세 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멤버들이 중상을 당하는 참사를 맞았기 때문이다. 결국 이 대형 참사로 밴드는 해산되고, 이들의 분신인 로싱톤 콜린스 밴드외 38 스페셜은 그 영광을 재현해내지 못했다. 길지 않은 기간 '73년 9월-'77년 10월 활동했으나, 그들의 영광은 이제 비극적인 전설로 남았으며, 이 앨범은 레너드 스키너드의 진혼곡으로 팬들의 가슴에남았다. (박신천)
93. Guns & Roese
[Appetite for destruction] (87)
건스 앤 로지즈는 '80년대 중반 L.A.. 지역에서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났던 많은 하드 록/헤비 메탈 밴드 중의 하나로 '80대 후반과 '90대 초반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록 밴드로 성장한다. 이들의 음악적 특징은 롤링 스톤즈나 에어로스미스 같은 노장 그룹의 부기 스타일을 그 악명 높았던 펑크의 정신으로 연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완벽한 복고적인 경향은 그전까지 LA.를 지배했던 메탈과는 차별성을 갖게 되는데, 결국 이 건스 앤 로지즈의 세력이 팽창함에 따라 종전의 L.A. 메탈은 자취를 감추고 복고적인 성향을 갖는 다양한 록들이 '90대에 등장하게 되었으니 참으로 아이러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건스 앤 로지즈의 성공 비결은 간단하다. 우선, 등장과 함께 미디어에 무성한 화제를 쉴 새 없이 제공한 액슬 로즈라는 강력한 프론트맨이 있다는 것이다. 액슬 로즈는 부드럽게 중얼거리는 듯한 도컬부터 울부짖듯이 강력한 목소리까지 겸비하고 있어서 실력 면에서도 프론트맨의 자격이 충분하다. 게다가 슬래쉬와 이지 스트래들린 두 명의 기타 시스템이 롤링 스톤즈의 키스 리차드와 믹 타일러 콤비에 필적할 만큼 효과적인데, 넘버 원 히트에 빛나는 <Sweet Child O'Mine>을 들어보면 그 강점을 만끽할 수 있다.
'87년에 발표된 이들의 데뷔 앨범은 에어로스미스의 오프닝 밴드로서의 투어 활동과 MTV의 지원에 힘입어서 이듬해에 차트 정상에 오르고, 비로소 건스 앤 로지즈의 화려한 성공의 시기가 열리게 된다. (김우석)
94. David bowie
[Changes one bowie] (73)
해적판 시절 데이빗 보위의 앨범 가운데 우리 록 팬들에게 가장 친숙한 음반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그의 주요곡들을 망라한 매력적인 '컴필레이 션' 앨범이기 때문이었다. 당시에는 요즘처럼, 왕성하게 활동중인 아티스트가 히트곡 모음 앨범을 내는 일이 드물었다. 마침 그때는 보위가 <Fame>을 싱글 차트 1위에 올려 그에 대한 팬들의 호기심이 증가하고 있던 때였다. 당연히 본 작은 '보위의 개론서' 역할을 했다. 많은 록 팬들이 이 앨범으로 보위의 존재와 음악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 컴필레이션 앨범은 결코 상업성 제고를 겨냥한 상투적 베스트 모음집이 아니었다. 그는 전 에 자신에게 부착된 지기(Ziggy)의 이미지를 떨쳐내기 위한 '고별작'으로 이 앨범을 구상했다. 그의 특허 상표는 양성체(兩性體)의 지기 이미지를 낳은 이른바 글램(Glam)이었다. '시각적 효과' 를 중시하는 글램의 대전제는 무대였다. 하지만 보위는 잠정적으로 무대를 떠나고 싶었다. 온통 뇌리에는 '스튜디오 음악에 대한 관심'으로 가득했다. 그것은 곧 '자극' 에서 '뮤지션쉽과 예술성' 으로 방향을 옮겨가는 음악적 전향을 의미했다. 글램에 대한 '발전적 해체' 라고 할까 ?
후대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수록곡은 가히 '초호화판 <Space Oddity>, <Jean Genie>, <Changes>, <Golden Years>를 비롯, 전에 싱글로 소개되지 않은 게이 찬가 <John, I'm Only Dancing>도 실려 있다. 이 앨범 이후 보위는 전위적 아티스트 브라이언 이노와 손잡고 일련의 공작을 발표하게 된다. 하지만 보위의 팬들은 이 앨범의 수록곡을 보석처럼 더 애지중지 했다.(임진모)
95. Alice in chain
[Dirt] (95)
둠 메탈보다 더 가라 앉았고, '60년대 말엽의 플라워 무브먼트 만큼 사이키델릭하며, 스래쉬 메탈의 공격성을 갖춘 데다, 데스 메탈보다 더욱 심도있게 죽음을 논하고, 그 내재된 분노의 무게 는 측정할 수 없을 정도이지만 그들이 뽑아내는 멜로디는 누구보다도 수려하다. 바로 앨리스 인 제인스. 아직 세 장의 앨범 밖에 내놓지 않은 그들이지만 앞으로의 활동 여부에 상관없이 두 번째 앨범 「Dirt」는 길이 기억될 것이다. (윤병주)
96. Oasis
[(What's he story)Morning glory?] (95)
솔직히 100선에 2집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보다는 1집 「Definitely Maybe」가 선정됐으면 했다. 데뷔 앨범보다 나은 2집은 없다' 란 고정관념 때문이기도 하겠지 만, 2집은 이제껏 각종 지면을 통해 너무도 지겹게 울궈 먹어졌고, 나이트 클럽 블루스 타임에도 울려퍼질 정도의 범민족 인기 앨범이기에 그다지 새롭게 언급할 것도 없다.
'96년 여름, 영국 잡지만 펼치면 등장했던 오아시스와 블러의 '브릿팝 내전'. 오아시스가 이겼고 세계 시장에서 성공했다는 뻔한 레퍼토리가 이젠 팝 역사의 한 자리에 중요하게 기술되고 있는 실정이 돼버렸지만, 당시 여러 상황을 고려하자면 블러는 이미 오아시스의 스파링 파트너로 의미가 없었고, 결과 역시 뻔한 게임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매니아 노선을 걷기 시작한 블러의 4집과 대중 노선을 추구한 오아시스 2집은 비교 대상이 아니었단 얘기다.
오아시스는 비틀즈, 롤링 스톤즈, 폴 웰러 등의 선배들을 답습하며 음악성과 대중성이 교차할 수 있는 합일점에 다가서기 시작했고, 고전들의 카피와 흡수를 통해 영국석권과 미국 진출 시나리오에 완벽하게 다가설 수 있었다.
본작을 통해 쏟아진 싱글은 모두 4개. 이 중 <Don't Look Back In Anger>를 제외한 3개의 싱글이 차트 정상에 올랐으며, 싱글과는 상관없이 두 곡의 비디오 클립이 더 제작되었다. 최초의 넘버 원 싱글이 된 <Some Might Say>는 티 렉스의 흔적을, 미국 모던 록 차트를 강타한 <Wonder Wall>은 조지 해리슨의 이미지 카피를 보여주며 세대를 이어주는 밴드 오아시스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종현)
97. Red hot chili peppers
[Blood sugar sex magik] (91)
솔직히 이 앨범이 100장의 리스트에 낄 수 있으리라고는 상상치 못했었다. 물론 이 작품이 잘 만들어진 록 앨범이고 그들 경력의 베스트이며 (당연히) 그에 합당한 평가를 받을 만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아무래도 사적(史的) 의미에 있어서의 비중은 상당히 고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앨범은 제인스 어딕션의 「Ritual De Lo Habitual」과 너바나의 「Nevermind」사이에 샌드위치 마크를 당함으로써 얼터너티브 시대의 과도적 단계에서 어정쩡하게 물러설 수밖에 없었고, 페이스 노 모어와 수어사이덜 텐던시스 등 헤비메탈/하드 코어 계열과의 연관성으로 그 위상이 미묘한 상태였던 것이다.
게다가 밴드와 앨범의 지명도 확산이 그들 본래 색깔과는 거리가 있는 싱글 <Under The Bridge>의 깜짝 히트로부터 결정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은, 그들의 그 풍요로운 리듬과 농담 같은 개성이 여전히 대중성과 영향력 사이에서 안절부절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이 본고장과 다르다는 점에서라면 이 결과는 승복할 수밖에 없다. 얼터너티브 유입 초기의 그 강렬한 인상을 잊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 앨범은 여전히 프로토타입으로 존재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박은석)
98. The beatles
[Rovolver] (66)
지금 우리에게 친숙한 개념으로서의 록이 태동하여 활발히 진화를 이루던 시절, 진정 진보 인 다양한 시도와 방법의 도입으로 록을 더욱 풍성한 모습으로 일구어 놓은 아티스트 또는 그룹을 꼽는다면 비틀즈는 단연 그 선두에 설 자격을 갖춘다. 스트링과 브라스 등 고전 음악적 요소 차용이라든지 멜로트론, 테이프 역회전, 뒤틀린 사운드의 배치 등 스튜디오에서의 혁명적인 시도 등은 그들을 위대한 이름으로 만드는 데 한몫을 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이 이러한 '실험' 들을 아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그 방면의 전형(典型)을 제시했다는 사실이다. 이들이 「Rubber Soul」을 통해 아이돌 스타로서의 이미지를 벗어나기 시작했다면, 「Revolver」는 <Love Me Do>, <Yesterday>등으로 대표되는 초기에서 <A Day In 1 Life>, <Strawberry Fields Forever>, 그리고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Because>등 중후반기 명곡들로 넘어가는 발판 역할을 했다 할 수 있다 레너드 번스타인도 극찬했던 <Eleanor Rigby>의 선율적인 아름다움과 완벽한 스트링 오케스트레이션의 조화라든지 <Here, There And Everywhere>와 <For No One> 에서의 달콤함, <Norwegian Wood>의 연장선상에서 이후 <Within You Without You>로 이어 지는 라가(Raga) 록 <Love You To>, 존 레논 의 환각적인 성향이 그대로 드러나는, 이후 사 이키델릭 시대의 포문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She Said, She Sald>, <Tomorrow Never Knowsr>등 앺으로의 커다란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된 앨범이다 클라우스 부어만의 탁월한 킨더 아트워크 또 한 비틀즈의 모든 앨범들 중 최상의 자리를 차지 할 만하다. (김경진)
99. Elvis Costello
[This year's model] (69)
'77년의 런던에는 섹스 피스톨스나 클래쉬와 같은 과격파 정치적 밴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런던의 펑크 씬에는 실로 다양한 스타일이 공존했고 그들 나름대로 저마다의 개성을 갖고 있었.
미디어의 편의에 의해 기존의 팝 음악과 다른 새로운 음악을 하는 뮤지션들은 도매급으로 펑 크, 뉴 웨이드로 불렸고 그 레테르는 지금도 계속 따라 다닌다. 엘비스 코스텔로는 데뷔 당시 분명히 성난 젊은이(angry young man)의 정서를 지니고 있었지만 단순히 펑크, 뉴 웨이드로 불리기에는 억울한 점이 많은 뮤지션이다. 오히려 그를 더 잘 표현한 용어는 싱어송라이터일 것이다. 그의 음악 여정을 살펴보면 너무나 다양한 음악적 시도에 감탄하게 된다. 초창기의 록큰롤 스타일, '80년대 중반의 소울과 컨트리 탐구, '90년대의 클래식 섭렵까지 그가 관심을 갖지 않은 분야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영·미 언론은 그를 현존 최고의 뮤지션 중 한 사람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상대 적으로 국내에서는 한 번도 제대로 소개되긴 못 했고 그긴 이름 정도나 알려진 뮤지션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제일 두드러진 것이 미국 싱글 차트 위주의 국내 팝 풍토 와 가사의 이해가 안된다는 점이다. 엘비스 코스텔로는 데뷔 당시부터 냉소적이고 지적인 가사로 한 몫했던 뮤지션 이다. 한마디로 문학적인(Literate) 아티스트다. 이번 100선 앨범에 그의 작품이 3장 이나 포함되어 있어 고무적이며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를 바란다. 이 작품 「This Year's Model」은 '78년 발표된 그의 2집으로서 오른팔과도 같은 백밴드 어트렉션스와 함께 한 첫 작품이다. 초창기 그의 특징인 간결하고 경쾌한 록 비트와 조롱하는 듯한 창법에 실린 페이소스 넘지는 가사가 빛난디 <Pump It Up>과 <(I Don't Want To Go To) Chelsea>등이 대표곡이고 그의 전 작품 중에서도 가장 록적인 음반이다. (정원석)
100. The Wallflowers
[bringing down the horse] (96)
여기 우리가 뽑은 100장의 록 앨범 리스트가 월플라워스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은 사뭇 의미심장하다. 아메리칸 록의 자존심이라 일컬어지는 일련의 비슷한 성향의 뮤지션들 - 브루스 스프링 스틴, 존 멜렌캠프, 톰 페티, 밥 시거- 에 대한 박정한 평가가 인지상정이었던 시대가 바로 엊그제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 아닌가?
물론 이 앨범은 장르별 지분을 할당받은 낙하산이 아니다. 이 앨범에는 시대를 관통하는 강경 한 메시지의 나열도 없고, 대중들을 경악케 할 만한 사운드의 혁명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작은 여기 이 자리에 당당하게 설 만한 자격이 충분하다. 여기에는 청자를 사로잡는 그 무언가가 있다. 선율의 안팎을 둘러싸고 있는 그 긍정적이고 미묘한 에너지는 구체적 언급이 불가능 하고, '록의 위대한 작품들은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기운에 의해 기적저럼 완성된다' 는 추상적인 논리의 취약성은 어느새 진리가 된다. 이 밴드의 리더가 밥 딜런의 아들이라는 사실은 몰라도 좋다. 고집스러운 표정을 제외하고 제 이콥 딜런이 그의 아버지로부터 수혜를 받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오히려 그는 아버지가 이루지 못했던 대중친화적(상업성 지향적이라는 말과는 엄연히 다른) 편안함을 갖춤으로써 밥 딜런이라는 거대한 그림자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고 있다.(박은석)
(*.244.221.1)